earticle

논문검색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원문정보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Microclimatic Analysis of the Gyeongju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Korea

김지영, 이찬희, 이명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yeongju Seokbinggo (Treasure No. 66) is an ice-storing stone warehouse, consisting mainly of alkaligranite which shows milky white color and medium-grained textures with drusy cavities. As results of deterioration assessment, the deterioration rates were determined as crack (12.5%), disjoining (6.7%), breaking-out (25.1%), exfoliation (20.9%), efflorescence (6.5%), brown discoloration (9.8%), darkgray discoloration (2.0%) and biological discoloration (36.5%). Comprehensive physical deterioration rate and discoloration rate were calculated as 43.7% and 68.7%, respectively, that indicates the Seokbinggo has been severely weathered. Indoor relative humidity was above 90% except in winter season. Indoor microclimate was hardly fluctuating although indoor microclimate was dependent on the outdoor climate. The main cause of deterioration was high relative humidity and a long time of wetness due to penetration of rain, underground water and condens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water brought out biological discoloration, dissolution of minerals, structural movement and efflorescence, and the dust from the ground soil in front of the entrance accelerated brown and dark gray discoloration on the stone surface.

한국어

경주석빙고(보물 제66호)는 조선시대 얼음 저장고로서 주구성암석은 유백색 색조를 띠고 정동이 발달한 중립질의 알칼리화강암이다. 훼손도 평가 결과, 균열(12.5%), 이격(6.7%), 탈락(25.1%), 박락(20.9%), 백화현상(6.5%), 갈색 변색(9.8%), 암흑색 변색(2.0%) 및 생물에 의한 변색(26.5%) 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물리적 훼손율은 43.7%로 홍예틀 1번과 2번에서, 변색에 의한 훼손율은 68.7%로 북벽에서 가장 높아 석빙고의 훼손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석빙고 내부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연중 90% 이상의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하였으며, 내부 미기후는 외부 기후 변화에 의존하나 외부보다 변동이 현저히 적은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다. 상대습도는 봄과 여름에 98~100%에 최빈값을 보였다. 훼손의 근본적인 요인은 강수와 지하수의 유입 및 결로수에 의한 높은 상대습도와 장기적인 수분 유지시간이다. 이 수분은 생물에 의한 변색, 부재의 재질약화, 구조체의 거동, 백화현상 등을 야기하였다. 한편 입구 전면의 사질토양으로 인한 분진과 부유 입자가 내부의 갈색 및 암흑색 변색을 가중시켰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석재의 재질특성
  3.1. 재질의 다양성과 전암대자율
  3.2. 암석학적 및 광물학적 특징
 4. 정량적 훼손도 평가
  4.1. 물리적 훼손
  4.2. 변색에 의한 훼손
  4.3. 종합훼손도 평가
 5. 미기후환경 분석
  5.1. 연중변화
  5.2. 계절변화
  5.3. 결로발생 가능성
 6. 보존과학적 고찰
 7.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영 Jiyoung Kim. 공주대학교
  • 이찬희 Chan Hee Lee. 공주대학교
  • 이명성 Myeong Seo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