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일입자재현법을 활용한 고고유물의 진위판별 연구

원문정보

Authentication Test of Archaeological Materials using Single Grain Regenerative Dose Method

김명진, 윤민영, 홍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turn out the authentication of archaeological materials by using the paleodose measurement to fine sand-size quartz grains obtained by micro sampling technique. We firstly revealed the validity of micro sampling technique from the paleodoses of two bricks related to Muryong Royal Tomb of Baekje Kingdom. For the purpose of authentication test, four archaeological materials were selected, because they have been insisted that they were manufactured in Goguryeo Kingdom era. After obtaining very few quartz grains by micro sampling technique, each paleodose was evaluated by using SGR (single grain regenerative dose method). All values were very low below 0.2Gy and the reliability was found from those values by using SAR (single aliquot regenerative dose method). Considering the archaeological situation and the general paleodose, the burial time for 1,000 years generally corresponds to about 3.5Gy in Korea, it is concluded that these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all modern counterfeit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고고학 유물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미세시료채취법을 적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화학적으로 분리된 세립 석영 입자의 고고선량을 산출하였다. 진위판별 연구에 앞서 미세시료채취법의 타당성은 백제 무령왕릉 출토 전에서 산출된 고고선량 값들로부터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 시대에 제작되었다고 주장되는 4점의 고고학 유물에 미세시료채취법을 적용하여 극소량의 시료를 채취한 후 단일입자재현법으로 고고선량을 산출하였다. 모든 유물에 대하여 고고선량 값은 0.2Gy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단일시료재현법으로 산출된 값과 비교한 결과 매우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물의 고고학적 상황과 국내에서 고고선량은 평균적으로 1,000년 당 약 3.5Gy 내외의 값을 가진다는 점으로 미루어 판단하건데, 이 유물들은 고구려 시대에 제작된 유물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시료 및 실험기기
  2.1. 시료
  2.2. 실험기기
 3. 결과
  3.1. 백제 무령왕릉 출토 전 (AT-1, 2 시료)
  3.2. 고구려 시대 추정 유물(AT-3̃~6 시료)
 4.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명진 Myung-Jin Kim. (재)충청문화재연구원 부설 한국고환경연구소
  • 윤민영 Minyoung Youn.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 홍덕균 Duk-Geun Hong.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