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구려 고분벽화 오염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removal method of Brownish black and White crust on Mural in Koguryo Tomb

한경순, 임권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 scientific methodology for removing white and black/brown colouredstains on the wall paintings of tombs of Jinpari No 1 and No 4.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r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stains of the samples from the wall paintings, a microscope and SEM/EDXwere us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fomula of white coloured stains should be CaSO4 or CaCO3 and theblack/brown coloured stains should be CaSO4 or CaCO3 with soil deposition.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testingseveral cleaning solutions on sample patches of large area of the painting, the author considered a risk-free cleaningsolution as being the most appropriate one, with Ammonium bicarbonate and Anion exchange resin showing satis-that physical cleaning should be followed by applying a cleaning solu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고구려 벽화고분인 진파리 1, 4호분 벽화의 표면에서 관찰되는 백색과 흑갈색 오염물제거 방안수립을 위해 진행되었으며, 현장 적용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조사에서 금속현미경과 SEM/EDX를 이용하여 백색과 흑갈색 오염물질 시료의 관찰과 성분분석이 실시되었다. 시료에 대한 연구 결과 백색 오염물질은 CaSO4 3로흑갈색 오염물질은 황산칼슘화합물 혹은 CaCO 3와 토양침적물로 추정되며, 백색과 흑갈색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음이온교환수지와 Ammonium bicarbonate를 처리제로 선정하였다. 두 가지 모두 각각의 처리 대상에 대해 양호한 효과를나타냈으며, 일부 피각형태로 고착화된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물리적인 처리법의 병행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처리방안
  1) 표면오염물질 분석
  2) 처리방안
 3. 적용실험 및 고찰
  1) 적용실험
  2) 실험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경순 Han Kyeong-Soon. 건국대학교
  • 임권웅 Lim Kwon-Woong. 경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