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천안 두정동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원문정보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Class Beads of Dujeong-dong site of Cheonan, Korea

송유나, 김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jeong-dong site of Cheonan is known as the site of Baekje period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h centu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sible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18 pieces of the glass found in the site, and considered scientific properties and periodic interrelationship of the glas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he observation of the visibl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glass was performed with both an electron microscope and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conducted by way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EDS). In the analysis result, various chemical composition systems are identified in the glass beads of Dujeong-dong site, such as lead-barium, soda and potash glass, and also different shapes were found such as gold foil glass beads, tubular beads, and round beads. It is estimat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glass by means of its chemical composition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lor of glass.

한국어

충남 천안 두정동 유적은 4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백제시대 유적으로 이곳에서 출토된 고대유리 18점에 대한 가시적 특성 및 화학조성을 분석하여 한국 고대유리의 과학적 특성 및 시대적 상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가시적 특성 및 미세구조는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화학 조성은 파장형분광분석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SEM-EDS)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금박구슬, 관옥, 환옥 등 다양한 형태의 유리가 출토된 두정동에서는 납바륨유리 소다유리 포타쉬유리 등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한국 고대유리의 조성이 모두 확인된다. 이와 함께 두정동 유리의 조성은 표면 색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별로 안정제가 차이를 보인다.

목차

초록
 ABSTRACT
 I. 서론
 II. 연구대상
  1. 유적 개요
  2. 시료 선정
 III. 연구방법
  1. 조성분석
  2. 미세구조
 IV. 결과 및 고찰
  1. 가시적 특징
  2. 화학 조성
  3. 미세구조
  4. 금박구슬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유나 Song Yu-na.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호 Kim Gyu-ho.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