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벽화 보존에 따른 고착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Consolidation Medium for the Conservation of Mud Wall Painting

한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priority we face in the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is the conservation of painting layer. The 'painting layer' is sometimes called the pigment layer, and refers to the painted surface. For the consolidation of this painting layer we use 'fixative'. Fixative is a common adhesive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 and conservators have mad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onsolidation of wall paintings. In my thesis, I will summarise the range of use, standards of selection, and results of research on the use of fixative in the conservation of European paintings. In addition, I will describe various kinds of our traditional fixatives. As synthetic resins have proved that it is not ideal as a fixative for wall painting, conservators have studied to find an alternative. Same as European conservators, Asian scientists has researched to find alternative fixative which is more suitable to the wall paintings in Asia based on their traditional techniques and materials. Therefore, 1 have studied to find an adequate fixative for our own wall paintings and I could conclude that we can consider traditional fixative which is made of 'seaweeds' as an alternativ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oceed research and experiment on this material.

한국어

벽화 보존처리에서 우선 시 되는 부분은 채색층에 대한 보존처리이다. 채색층이란 그림이 그려진 표면층을 말하며 안료층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채색 층의 보존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고착제(固着劑, Fixative)를 사용한다. 고착제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접착제를 말하며 그 사용범위는 방대하다. 그 중에서 일부를 보완하여 벽화문화재 현장에서 적용하므로 그 목적성과 사용범위에 의해 고착제라 지칭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그간 유럽에서 사용된 벽화의 이상적인 고착제을 위한 연구성과에서 사용범위, 선택기준, 연구결과 등을 요약 기술하고 우리의 전통적인 접착제를 정리하였다. 현재 합성 수지를 이용한 고착제의 문제점이 과거 처리된 벽화 문화재에서 발생되고 이를 위한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특히 동양 벽화의 경우, 전통적인 방법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연구 중이다. 우리의 전통 접착제 중, 도박과 같은 해초풀의 활용을 통한 보존처리 현장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험과 연구가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벽화보존에서 고착제의 특성
  2.1. 일반적 특성
  2.2. 고습도(高濕度) 환경이나 이전(移轉}목적 시 고착제의 특성
 3. 동 • 서양 전통 고착제의 종류
  3.1. 서양 고착제의 종류
  3.2. 동양의 전통접착제
 4. 이상적 고착제를 위한 선별검사
  4.1. 합성 수지를 주원료로 한 고착제
  4.2.ICR의 이상적인 고착제 연구
  4.3. 현실적 문체점
  4.4. 동양 토벽화의 적용사례
  4.5.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경순 Kyeong Soon Han. 경주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