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新羅 王京의 範圍와 區域에 대한 地理的 硏究

원문정보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신라 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

李起鳳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방법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방법과 자료
   1-3 논문의 구성
   1-4 연구의 범위와 한계
  제2절 연구 동향과 문제점
   2-1 선행 연구의 쟁점과 검토
   2-2 선행 연구의 문제점
 제2장 경주시내의 하천과 지형
  제1절 기록을 통해 본 하천의 범람과 지형
   1-1 하천의 범람과 북천
   1-2 제방과 숲(藪)
  제2절 유적 발굴을 통해 본 하천의 범람과 지형
   2-1 유적 발굴지의 원지반층
   2-2 2차 퇴적층과 뻘층
  제3절 신라 건국 전후 경주시내의 하천과 지형
 제3장 건국 전후의 6촌과 정치중심구역
  제1절 6촌의 위치와 경계
   1-1 『삼국유사』에 나오는 6촌의 위치
   1-2 얄천양산촌과 금산가리촌의 위치
   1-3 6촌의 위치와 경계
  제2절 신라의 건국과 6촌의 존속 및 정치중심구역의 형성
   2-1 신라 건국 이전의 6촌 관계
   2-2 신라의 건국과 6촌의 존속
   2-3 정치중심구역의 형성과 위치
 제4장 6촌의 개편과 왕경의 형성
  제1절 6촌의 행정구역으로의 개편
   1-1 유리니사금 9년(32) 전후 왕실집단의 강화
   1-2 6촌에서 6부로의 개편
   1-3 6부의 행정구역화
  제2절 왕경의 형성과 공간적 규모
   2-1 6부의 특권지역화와 왕경으로의 변화
   2-2 왕경의 특권적 지역성 강화
  제3절 6부 행정구역의 존속과 방리제의 시행
   3-1 인구이동의 경향
   3-2 정치중심구역의 확장
   3-3 6부 사이의 관계 변화와 坊里制의 시행
 제5장 왕경 내 행정구역의 개편
  제1절 왕경으로의 인구집중 경향
   1-1 왕경인과 지방인의 차별
   1-2 지배층의 왕경 집중 경향
   1-3 피지배층의 왕경 집중 경향
  제2절 정치 중심 구역의 확장
   2-1 6-7세기 사찰의 건립
   2-2 신궁의 건설과 위치
   2-3 주거지의 확장
  제3절 왕도와 6부로의 행정구역 개편
   3-1 왕도와 6부로의 분리
   3-2 왕도와 6부의 관할 관부
   3-3 왕도와 6부로의 분화시기
   3-4 왕도와 6부의 범위
  제4절 전성기 왕경의 호수와 하부행정단위의 성격
   4-1 통일신라 전체의 호수
   4-2 전성기 왕경의 호수
   4-3 호수의 분포와 하부 행정단위의 성격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日本文要約

저자정보

  • 李起鳳 이기봉.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2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