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존재-당위(IS-OUGHT) 논쟁과 도덕에 대한 정의(定義) -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메타 윤리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s-Ought Debate and the Definition of Moral - Focused on Peter Singer's Ethical Theory -

김광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vid Hume first suggested the existence of an unbridgeable gab between facts and values in his 1738 work Treatise of Human Nature. Today many philosophers use that work for support of their argument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value, and that is always logically improper to deduce ethical conclusions about how one ought act, from purely factual premises describing the world. In his Principia Ethica G. E. Moore argues that naturalists have confused the irreducible property of goodness with things that property or with some other property that good things possess. R. M. Hare has sought to explain this supposed "Is-Ought" gab by means of his non-cognitive prescriptivism, arguing that moral judgement do not, primarily, describe how the world is, but rather, they prescribe the world should be. On the other side of the autonomy of ethics debate we find philosophers such as Charles Pigden, who offer arguments in defense of naturalism. Contrary to Moore's claim of the irreducibility of 'good' and Hare's argument that naturalistic definitions of the term 'moral' collapse into relativism; Peter Singer takes it as given that it is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put forward a 'working' definition of moral. Having considered the two extreme positions of neutralism and descriptivism, Singer suggests one definition representing what he sees as a compromise, middle position. Singer's conclusion is that there ar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all accounts of morality; no definition of morality accomplishes the task of closing the gab between fact and value. At the analytical level Singer agreed with Hume that, logically, one cannot derive value conclusions from purely factual premises. And, at the normative level he agreed with Hume that morality is an expression of one's feelings. But, like Hume, Singer held that not just any kind of feeling gives to moral action;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such a sentiment that forms the basis of moral judgement a proper discernment of its object is also necessary.

한국어

본 논문은 피터 싱어의 메타윤리학에 나타난 존재-당위 논쟁과 도덕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고 그의 윤리학이 현대 윤리학의 난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존재-당위 논쟁과 도덕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데이비드 흄은 사실과 가치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며, 모든 당위 명제는 존재 명제로부터 도출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무어는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을 통해서 또한 헤어는 보편적 규정주의를 통해서 그리고 픽든은 자연주의의 옹호를 통해서 존재-당위 논쟁을 입증하고자 한다. 피터 싱어의 메타윤리학을 분석하면 싱어의 학문적 경력 초기에는 흄의 방법을 따랐다고 결론짓는 것이 타당하다. 분석적 차원에서 싱어는 논리적으로 순전히 사실적 전제로부터 가치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는 흄에 동의한다. 그리고 피터 싱어는 이를 확장 발전시킨다. 정서주의(emotivism)의 쇠퇴로 시작된 실체적 윤리의 재탄생은 철학자들이 비록 도덕적 판단이 사실 진술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참이든 거짓이든 입증될 수 없다 하더라도 그럼에도 그러한 판단들이 여전히 이성에 근거한다는 것을 인정할 때 일어남을 그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존 윤리학의 ‘존재-당위’ 논의
  1. 데이비드 흄의 ‘존재-당위’ 이론
  2. 무어(G. E. Moore)의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
  3. 헤어(R. M. Hare)의 보편적 규정주의
  4. 픽든 (Charles Pigden)의 자연주의 옹호
 Ⅲ. 피터 싱어의 ‘존재-당위’ 논의
  1. ‘도덕’에 대한 정의
  2. ‘존재-당위’ 논의에 대한 비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태 Kim, kwang tae.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