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sign of Ministry Identity using Emotional Design Mothodolgy
초록
영어
While the new government came, reorganization of a ministry and department was achieved in large scale. They was reorganizing an organization from 18 ministry and 4 department to 15 ministry and 2 department, and developing M.I.(Ministry Identity) containing representative symbol. It is an easy way to approach to people, and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new ministry symbol. The development of M.I means a new face of central administration and make an interest to people, also reveal a vision of Korea. So, the importance of M.I. as a symbolic representative image is large and studied as a sensibility instead of rationality in key word these days. On this study, the analysis of national M.I.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adjective key words is carried out. It is applied three types of analysis on sensibility design methodology that is an adjective key words analysis, logo type analysis, and color scale analysis.
한국어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조직의 개편이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과거 18부 4처를 현재의 15부 2처로 조직을 개편하면서 행정개편과 더블어 먼저 시행되는 것은 대표적인 상징성을 갖는 M.I(Ministry Identity)의 개발이었다. 보다 국민에게 쉽게 접근하고 혼란을 최소화 하며 시각적 공감을 갖게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중앙행정기관의 새 얼굴을 단장하는 M.I 개발은 국민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며 또한 공감대가 형성된 부처의 활동은 국가적인 주요 업무이며 목표 달성을 통해 선진한국의 비전을 꿈꾸고 있다. 이에 그에 따른 상징적인 대표이미지로서의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키워드는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감성의 화두를 만들어가는 것은 시대적인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감성디자인을 통한 상호작용은 감성의 이해와 감성디자인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M.I의 역할 및 비전, 상징 등의 정의에서 형용사적 키워드를 추출한 후 감성디자인 방법론인 형용사 키워드의 분석, 로고타입을 통한 분석, 칼라 스케일의 분석을 통하여 M.I 디자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각 분석에 의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M.Idesign이 정부부처에 국한된 상징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보다 확장된 국가의 의미를 상징하고자 하는 결과라고 생각이 된다.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국민에게 M.I가 어떻게 인식되어 있는지를 검증할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내 정부부처 M.I 일반적 현황
4. 국내 M.I 디자인의 현황 및 분석
5. 결론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