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so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Chukchee language and provide a phonological rule for vowel harmony in terms of vocalic high-low feature. Chukchee is a Chukotko-Kamchatkan language spoken by about 10,400 people in northeastern Siberia, mainly on the Chukchee peninsula or Chukotka between the Chukchee and Bering Seas, and also in bordering areas of the Sakha Republic, Magadan Oblast', and the Koryak Autonomous Region. Chukchee was originally written with the Latin alphabet, then in the 1930s a switch was made to the Cyrillic alphabet. Chukchee is famous for its dominant-recessive vowel harmony system. The vowel harmony is that if the word contains a morpheme with dominant vowels /e, a, o/ then the vowels /i, e, u/ of all recessive morphemes anywhere in the word change to their dominant counterparts. Confusingly, /e/ belongs to both sets. There is no clear consensus in the literature as to exactly how the vowels are pronounced, though /i, u/are lax rather than tense. By adopting the table of distinctive vocalic features, modifying the vocalic features by Kenstowicz (1994) and Spencer, I propose the phonological rule for the vowel harmony in Chukchee. The rule is formed by high-low feature which is one of the major vocalic feature on the basis of a phonemic level rather than a phonetic on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축치어의 음운 구조를 밝히고 모음의 고저(高低) 특징의 관점에서 모음조화에 대한 음운규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축치어는 추코트코-캄차트카어족으로서 동북 시베리아, 특히 축치해와 베링해 사이에 있는 축치 반도와 추코트카 그리고 사하 공화국, 마가단 주, 코략 자치주의 국경지대에 있는 10,400명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축치어는 원래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다가 1930년대에 끼릴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 축치어는 모음조화현상으로 유명하다. 모음조화는 한 단어 안에 dominant 모음인 /e, o, a/가 있으면, recessive 모음인 /i, e, u/가 그에 상응하는 dominant 모음인 /e, o, a/으로 각각 바뀌는 것이다. 음소 /e/는 dominant 모음이 되기도 하고 recessive 모음이 되기도 한다. 한편, /i, u/는 긴장음(tense)이라기보다는 이완음(lax)이기는 하지만, 그 모음들이 정확히 어떻게 발음되는지에 관한 언어학적으로 명백히 통일된 의견은 없다. Kenstowicz (1994)와 Spencer가 제시한 모음의 변별적 자질을 수정하여 만든 모음 자질 도표를 채택함으로써, 필자는 축치어의 모음조화에 대한 음운규칙을 제시하였다. 이 규칙은 음성학적이 아니라 음소론적인 기반에서 모음의 중요한 변별적 자질들 중에 하나인 고저(高低)의 자질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Phonological Structure
III. Vowel Harmony
IV. Conclusion
Reference
국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