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see reconstructing identities of foreign immigrants by type(that is, marriage migrants, returnees from China, Nikkeijin immigrated from Latin America, Zainichi Koreans, and migrants workers from South-East Asia) in Japan, this paper suggests a typology of identity with two axes; one is the blood which regulates nationality, the other is the way of life cultivated on the basis of places of daily life, and then examines interrelational and multiscalar processes of identity reformulation in relations with Japanese civil society and nation as well as Japanese local dwellers. This paper also points out that policies for supporting foreign immigrants have been initiated by innovative local governments, and then recently the so-called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is actively pursued by many local governments indifferently with their ideological characters. And hence, characters of local organizations for supporting foreign immigrants in Japan have developed various characters and differentiated themselves in certain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s. But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ies, especially implemented by recent conservative political powers, seem to deepen discrimination with foreign immigrants, which are mainly established on the so-called ‘Nihonjinron’ emphasizing the homogeneity of Japanese race and cul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extualism, a version of the Nihonjinron, can be seen as a model with which one can explain why multicultural identity is required, and can be developed, on local lifespaces. Finally it is argued that Japen needs to institutionalize local-global citizenships in order that foreign immigrants reform their real multicultural identity, and that Japan transforming to multicultural society can reconstruct new local, national, and global identity.
한국어
이 논문은 우선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자들의 정체성의 재구성을 유형별 로(결혼이주자, 중국귀국자, 남미 일계인, 재일 한국조선인, 동남아 이주노동자 등) 살펴보기 위해 국가적 민족성을 규정하는 혈통(인종)과 일상생활의 장소성에 근거한 생활문화를 두 축으로 정체성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정체성이 일본 주민 이나 지역사회 및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상호관련적 및 다규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혁신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이주자들 에 대한 지원 정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최근에는 지자체들의 혁신/보수 성향 과 거의 무관하게 다문화공생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따라 지자 체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외국인 이주자들을 지원하는 사회단체들의 성향도 다 양하게 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본의 다문화 공생 정책, 특히 최근 보수적 정권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관련 정책은 실제 외국인 이주자들에 대한 차 별화를 강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차별 정책은 일본 인종과 문화의 동질성을 강 조하는 이른바 ‘일본인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의 한 변형으로 주창된 ‘간인주 의’는 그러나 국지적 생활공간에서 다문화적 정체성이 왜 필요한가 또는 어떻게 구축될 수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이해된다. 끝으로 일본의 외국인 이 주자들이 진정한 다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일본 사회도 새로운 지역적, 국가적 정체성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지구-지방적 시민성의 제도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자 한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연구 동향
1) 정체성의 상호관계적 형성과 변화
2) 정체성의 장소성과 다규모적 재구성
3) 일본의 다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동향
3. 일본 외국인 이주자의 다규모적 정체성
4. 지자체와 지역단체들의 활동에 함의된 정체성
5. 일본의 전통적 국가 정체성과 정체성의 정치
6. 결론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