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modernist urban development models have been criticized in terms of failing the sustainability of nature and human, human-nature relation, human-human relation. This paper critically investigates the limits of modernist urban development models and analysis the features of new urban paradigms including mega-region and MetroNation, global city, network city, creative city, ubiquitous city, eco-city and town, healthy city, slow city, smart growth, new urbanism and urban village, compact city, Japanese new urban village, local agenda 21. Finally complementary conceptual frameworks or pathways need to enlarge alternatives of new urban paradigms based on reestablishment of spatial efficiency concept, use and excavation of urban specific assets, new concept of growth engine and market, conversion of modernist planning and guarantee of democratic assets in the urban political process,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y for sharing growth benefits.
한국어
근대주의 도시발전 모델은 자연과 인간, 인간-자연관계, 인간-인간관계의 측면 에서 지속가능성을 상실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근대주의 도시발전 모델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대안으로 등장 하는 다양한 도시발전 패러다임(광역거대도시, 세계도시, 네트워크 도시, 창조도 시, 유비쿼터스 도시, 생태도시, 건강도시, 슬로시티, 스마트성장, 지방의제 21, 뉴 어바니즘, 어반빌리지, 컴팩트시티, 마찌쯔구리)의 특징을 검토한다. 이러한 대안 적 모델의 연장선상인 동시에 누락된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간효율성 개념 의 재설정, 도시 고유의 자산발굴과 활용, 새로운 개념의 성장과 시장의 확립, 근 대주의 도시계획 방법의 전환과 도시정치에서 민주적 자산의 확보, 성장편익을 공유하는 내포적 발전전략의 구사 등과 같은 추가적인 개념장치가 필요하다는 것 을 제시한다.
목차
1. 새로운 도시발전 모델 모색의 시대
2. 근대 도시발전 모델에 대한 성찰
3. 대안적 도시발전 패러다임들과 특징
1) 새로운 패러다임 유형과 특징
2) 광역거대도시화 패러다임
3) 정보통신기술‧지식사회 패러다임
4) 생활양식 전환 패러다임
5) 신전통주의 도시계획 패러다임
4. 성장편익을 공유하는 도시발전 전략의 개념적 구성
1) 도시 고유자산과 성장 동력 개념의 전환
2) 도시계획문화의 전환과 민주적 자산의 확립
3) 성장편익을 공유하는 내포적 발전전략의 구사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