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title of the article presentation conference, “ the Peacε of Korea peninsular" posεs problems when assessing the titlε in systematic theological perspective. But in respect to the Peace, the writer beliεves that Christians need to think and promote the topic in the dimension of Theology and Christian doctrine. This is bεcause othεr cults such as Unification Church (Mooη따) have dealt with the issue while founding the interim “Chûn Ju Peace unification" party. 1herefore, Ecumenical movemεnt’s main emphasis of The World Coμ ncil of Churchσ which statεs , “ in order to achieve onε entity, wε must εxcεεd religion and denomination, ignoring the truth in Christ", should not be the basic principle behind 70 동종랐쏠 와 애S용J Vol. 7 (2010) the Peace of Korea peninsular. Thus, the subject of “ racial peace" should not be considered unconditionally solely in pursuit of logical formality of peace and integration but also in respect to what the true peace ultimately means and how it actually benefits spiritual aspect of the nation as a wholε. For example, wε can not accept the communistic socialism system as the sole presupposition for pεacε.
Therefore, the writer has outlined the four presuppositions for the peace as follows:
1. We need to be peace biblically in Christ.
2. The peace needs to be carried out in democratic way.
3. The peace which we want needs to be carried out peacefully without any trouble
between both
4. We need to find, first of all, ways to be set peace in our own efforts without foreign intervention, although w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overseas help.
The writer, in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wants to put the foundation in the sovereignty
of God.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Peace of Korea peninsular the writer wishes to propose five theological suggestions in relation to Calvin’s five doctrines.
The reasons behind the urgent of the necessity of the peace are as follows:
1. In ordεr to help North Korea’s economical absolutε poverty.
The Peace of Korea peninsular needs to be politically unconditional. The Peace of Korea peninsular should bε firstly to Koreans residing in Korεa peninsular.
2. The consistεnt peace is only possible via the irresistible grace of God.
3. In order for the Korea peninsular to sustain stable peace unification ultimately needs to take place.
한국어
우리가 현실적으로 다루는 통일이나 평화의 이슈는 신학적인 주제나 종교적인 주제로 적합하지 않고 또 조직신학의 근본 교리에서 거리가 먼 주제이다. 그럼에도, 민족적으로 당면한 과제를 기독교계나 신학계에서 ‘벙어리 개’처럼 침묵으로 묵비권을 행사하고 역사의 방관자처럼 전혀 기독교의 입장이나 신학자로서의 견해를 유보하는 자세는 극히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나의 사명의식을 가지고 새롭게 탐색하고 발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유념해야 될 사항은 민족의 통일 문제와 평화 문제를 신학적 잣대로 갑론을박(甲論ζ騎)하게 되면 끝없는 평행선을 결으며 도무지 결론이 나지 않게 된다는 생각이 든다. 남북통일이나 남북 평화의 문제는 일차적으로 민감한 정치적 문제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교리적으로 복잡한 신학적 입장이나 종교적 노선 문제를 삽입하거나 전제해서는 해결 기미가 전혀 없고 통일은커녕 평화조차도 운운할 수 없을 것 같다. 따라서 먼저 평화를 위한 방안(方案)이 나오고 다음에 통일에 대한 묘안(妙案)이 제시된 다음에 비로소 복음화에 대한 대안(大案)이 순차적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평화에 대한 진정한 의미뿐 아니라 남북통일과 그 평화적 대처 방안,평화 유지와 경제적 부담 남북 간 평화 교육 프로그램과 체제 등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그리스도인들이 평화를 도모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2. 성경에서의 샬롬의 의미는 무엇인가?
3. 평화의 '특별한 은혜'와 '일반적 은혜'의 관계
4. 평화(平和)에 대한 기독교 철학(基督敎哲學)
5. 기독교 교의학적인 평화론 분석
6. 기독교 평화에 대한 토론
7. 평화와 햇볕 정책에 대한 소견
8. 남북통일과 평화적 대처 방안에 대한 소견
9. 평화 유지와 경제적 부담에 대한 소견
10. 남북 간의 평화교육의 프로그램에 대한 소견
11. 통일을 지향하는 평화 체제와 '서해평화협력특별시대'에 대한 탐색과 미래 전망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