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효친 • 경로사상의 민족사적 의의에 관한 해석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tional historical origins of Gyeongno hyochin(filial piety) Thought

김종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torical origins of the nation, the path hyochin(filial piety) thought related to myths. The Tan thought finds hyochin(filial piety) origin.
Koreans on the roots of origin include filial piety thought Tan thought can be seen through the story.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ppeared to be indicated by filial piety though. Through this idea in historical context, should you want to study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on the filial piety.
Tan,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s are based on the ethical( 父孫子孝: Parents love their children, and filial piety to parents that the child will)), moral, these family changes as a national ethicC弘益人間(Humanitarian: The maximum Service for the Benifit of Humanity): It is widely blessed man) that can be read.
Hyochin(filial piety), the path of Shamanism and ideas in a relationship with a form of religious life in ancient hyochin(filial iety) thought can determine the relationship.
By the view of the next world and hyochin(filial piety) thought in ancient hyochin(filial iety) thought can determine the relationship.
Confucian convergence of the hyochinUilial piety) thought and social roles are as follows.
In the Korean development of filial piety thought, considered by period how historically confucian filial piety thought was trea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Goryeo period, and Joseon period, and examined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how the confucian fusion of filial piety philosophy was developed.
Confucian the hyochin(filial piety) thought, the path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the historical convergence process to consider the outline period examined.
Hyochin(filial piety) thought path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fusion of political ideology. Culture. Looked at the social relationships.
Hyochin(filial piety) in a modern sense, the path to the social role of religious ideology, social educational and political examined.

한국어

효친·경로사상의 민족사적 의의에 대하여 단군사상과 관련된 문헌에서 그 연원을 찾는다. 효사상의 연원으로는 한민족의 뿌리 의식인 단군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우리 사상의 정신사적 의의를 유불도(풍류도)에 나타난 효사상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사상을 통해 역사적인 맥락으로 효사상의 접목 가능성을 연구고자 한다. 단군 이야기의 정신사적 의의는 父慧子孝의 윤리를 근간으로 있다. 이러한 가족 윤리(父慧子孝)가 국가 사회윤리(弘益A 間)로 변화됨을 파악 할 수 있다.
무속과 효친·경로사상의 관계에서 고대인의 신앙생활의 양식과 효사상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고시대의 효친·경로사상은 내세관에 의해서 강화되었다. 효친·경로사상의 유교적 융합과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유교적 효친·경로의 역사적 융합과정은 삼국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효친경로사상이 얼마나 관심 갚게 다루어졌는가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사료를 통해 효친경로사상의 유교적 융합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에서의 효친·경로사상의 유교적 융합을 정치·문화·사회적 관계에서 살폈다. 현대적 의미에서 효친·경로사상의 사회적 역할을 종교적, 사회 교육적, 정치적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효친·경로사상의 민족사적 연원
  1 . 단군 이야기에 나타난 효친·경로사상
  2. 단군 이야기의 정신사적 의의
  3. 무속(巫俗)과 효친·경로사상의 관계
  4. 上古時代의 효친·경로사상
 III. 효친·경로사상의 유교적 융합과 사회적 역할
  1 . 유교적 효친·경로사상의 역사적 융합 과정
  2. 효친· 경로사상의 유교적 융합
  3. 효친·경로사상의 사회적 역할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훈 Kim, Jong - Hun. 경상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