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ne consequence of the new economic imperative of developing an environment-friendly and sustainable economy has been the growing importance of green management as a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the government has put forth a green growth vision, and followed suit with policy measures reflecting this vision. Companies, in their turn, have announced various new management plans reflecting this green vision. But, thus far, no tangible progress has been made. This is mainly due to the lack of concreteness, both in the government’s policy and green management plans by companies. The government’s green IT vision, for instance, was formulated without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current level of maturity in terms of green IT in Korea.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assessing the level of green IT maturity, develop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formatization and regulatory environments of Korean firms. We use this model to evaluate a sample of Korean firms s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ir respective industry sectors to assess the overall level of green IT maturity among Korean companies.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are presented as well.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 경영에 있어서도 녹색경영이 중요한 전략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녹색성장 비전 발표 이후 최근 몇 년간 녹색정보화에 대한 정책이 수립되고 기업들도 다양한 사업 계획을 발표했으 나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재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 없이 이상적인 비전 만을 제시하는 선언적 정책 및 사업 계획이 주로 진행됨에 따른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정보화 수준과 환경 규제 상황을 고려한 녹색정보화 성숙도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별로 대표성 있는 국내 기업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현재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2.1 녹색 성숙도 모델(Green Maturity Model, GMM)
2.2 그린 ICT 스코어카드(Green ICT Scorecard)
2.3 그린 IT 준비지수(Green IT Readiness Index)
2.4 선행 연구 분석 시사점
Ⅲ. 녹색정보화 성숙도 진단 모델 개발
3.1 지표 개발 개요
3.2 내용타당도 분석
3.3 AHP 분석을 통한 지표별 가중치 산정
3.4 성숙단계 정의
Ⅳ.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성숙도 진단
4.1 조사 개요
4.2 기업 정보 분석
4.3 진단 결과 종합 분석
4.4 영역별 상세 분석 및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AHP 분석 결과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