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ssess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Scale in Korean Business Context

원문정보

국내 기업환경을 대상으로 한 프로틴경력 태도 척도에 관한 적합성 연구

Young-Ho Park, Jin-Gu Lee, Hyung-Joon Yo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society requires individuals to manage their own career in a more self-directed way to ensure their employabili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new trend has been called “protean career” and refers to a career driven by the individual, not by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a protean career and its appropriateness in the Korean research setting by employing the previously validated Protean Career Attitude Scale.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rotean attitudes based on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Overall,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Scale measuring two subscales of protean career attitude. Also,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Conclusions were drawn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discussed.

한국어

현대의 경력환경은 경력개발에 대해서 개인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자신들의 고용가능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스스로를 개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환경 속에서 경력개발에 대한 개인들의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력을 ‘프로틴경력’이라고 한다. 프로틴경력은 경력개발의 주체가 조직이 아닌 개인이 됨을 강조하는 개념으로써 약 30여 년간 경력연구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이미 프로틴경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어진 ‘프로틴경력 태도 척도’에 대한 국내 기업환경에서의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다른 연구환경에서는 이미 ‘프로틴경력 태도 척도’가 2개의 하위 요인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러한 구조에 대한 국내 기업환경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프로틴경력 태도에서의 차이 또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존의 2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프로틴경력 태도 척도’의 구조가 국내 기업환경에도 적합함을 보여주었으며, 일부 개인 배경변인에 따라 개인들이 인지하는 자신들의 프로틴경력 태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1. The Protean Career and Protean Career Attitude Scale
  2. Career Metacompetencies: Identity and Adaptability
  3. Continuous Learning and the Protean Career
  4. Protean Career and Demographic Variables
 III. Research Method
  1. Sample
  2. Instruments
  3. Analyses
 IV. Results
 V.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Young-Ho Park 박용호.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Educational Research.
  • Jin-Gu Lee 이진구. KT&G, HRD Institute.
  • Hyung-Joon Yoon 윤형준. Pennsylvania State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Instruct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