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규 대졸취업자의 최종학교교육 기여도, 직업기대수준, 급여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Pre-service Education, and Salary on Job Satisfaction of Newly Hired College Graduates

박지혜, 전용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ducation, job expectation, salary,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Youth Panel Data YP2001', which was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In particular, 2,152 college graduates who got a job between 2004 and 2006 because information regarding pre-service education, one of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 was collected since 2004.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duc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alary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contribution of pre-service education employees feel,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y have. Second, pre-service educ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did not affect the level of job expectation. However, the level of job expec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rough salary. This study provided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garding this topic.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최종 학교교육의 기여도가 직업에 대한 기대수준과 급여수준을 매개로 하여 현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한 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청년패널 YP2001 자료’를 사용하였고, 최종학교교육이 직업에 대 한 기대수준과 급여수준을 매개로 하여 청년 취업자들의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가를 밝히기 위해 핵심 변인 중 하나인 최종학교교육의 기여도가 조사되기 시작한 2004 년에서 2006년 사이에 취업된 대졸자 2,1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최종 학교교육의 기여도와 직무만족도는 부적인 상관관계 를 나타내었고, 최종 학교교육의 기여도와 급여수준 역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최종 학교교육의 기여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나 급여수준이 낮다는 것이다. 둘째, 최종 학 교교육의 기여도가 직업에 대한 기대수준과 급여수준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 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최종학교교육의 기여도는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 업 에 대한 기대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에 대한 기대수준 은 급여수준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자료수집 의 시기가 제한적이고, 최종학교교육 기여도가 과거 경험에 대한 회상으로 왜곡의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그 역할에 대한 고민 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육과 직업적 성취
  2. 교육과 직무만족
 III. 연구의 방법
  1. 연구조사대상
  2. 변수의 정의
  3. 연구의 모형 및 자료분석방법
 IV. 연구의 결과
  1. 모형의 적합도
  2. 연구문제 1: 상관관계
  3. 연구문제 2: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지혜 Park, Ji-Hye Park.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 전용관 Jeon, Yong Kwan.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