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 인적자본 투자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대표 금융사 중심으로

원문정보

Korean Firm's Strategic Human Capital Management and Its Implication

배성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firm's human capital investment on its employee's performance, which in turn c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a corporate strategic plan for human capital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Korean financial corporation was selected and an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pecial emphasis is given in this paper to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variables, such as school education, training, work experience, language ability, professional certificate and license on employee's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at job training should be more attuned to performance orientation. Moreover,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human capital investment policies based on education and the creation of high-quality job exper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기업의 종업원에 대한 교육훈련 투자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 금융기업을 선정하여 인사 및 교육 관련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인적자본 구성요인인 학교교육, 직무훈련, 직무경험, 외국어능력, 자격보유의 수준이 종업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서 학교교육의 효과는 대체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학교교육의 효과는 높은 전문성을 요구하는 전문직군에서 정적(+)으로 작용했으나, 사무직군 같은 사무보조 직무에서는 학교교육보다는 직무훈련이 보다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교육 및 직무훈련 등 인적자본의 투자요인이 직군 차이에 따라 업무성과에 대한 영향 정도에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특히, 대상기업에서는 직무훈련이 종업원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고학력을 요구하는 직군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경험의 효과는 모든 직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외국어 능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직급을 통제했을 경우, 종업원의 자격보유도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1. 인적자본의 개념
  2. 인적자본의 영향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분석 변인
  3. 분석 방법
 IV. 분석 결과
  1. 기술적 분석
  2. 회귀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성오 Seong-O Bae.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