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미술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ity of a Child from a Single-Parent or Parentless Family

송희정, 김희정, 김선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the sociality and the general mentality of a child from a single-parent or parentless family. To conduct this study, I selected 10 student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I’ elementary school in Suwon and carried out 12 times of art therapy programs from Sep. to Dec. in 2006;once a week and for 60 to 90 minutes each time. To prove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program through this experiment, I conducted a test in the self-esteem, the sociality and the general mentality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and averages of the first test scores and those of the second test score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ly increased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from single -parent or parentless families. Therefore, the program should be constantly conducted for those children. Next, the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the sociality of those children. So, it can be a sociality enhancing program for single-parent or parentless children. Finally, the general mentality of those children who had been in this program improved much. It means that this program has beneficial influence on the mentality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uld get the conclusio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esteem, the sociality and the general mentality of the single-parent or parentless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2007;2(2):35-54)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일반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 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I초등학교 3, 4학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집단에 2006년 9월부터 12월 2일까지 개별집단과 협동집단으로 주1회 수요일 60분에서 90분 정도로 총 12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 그램을 실시하였 다. 실험 처치 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사회성 검사 그리고 일반 정신 건강 상태 검사를 사전-사후로 나누 어 실시하여 측정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전-사후 점수의 총점과 평균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 시의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질적 방법으로 그림투사검사(K-HTP, 동적가족화, 학교그림)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 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증진 그리 고 일반정신건강상태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07;2(2):35-54)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 정의
 이론적 배경
  1. 집단미술치료
  2. 결손가정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평가도구
  3. 연구 절차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결과 및 해석
  1.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과정의 분석
  2. 집단 미술 치료 실시 후 변화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송희정 Hee-Jung Song. 인계초등학교
  • 김희정 Hee-Jung Km. 인계초등학교
  • 김선현 Sun-Hyun Kim. 포천중문의대 보건복지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