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판화를 통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집중력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Printmaking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Impulse of ADHD Children

하경은, 민윤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researched once a week, 12times in total, from January first 2007 to April seventeenth 2007 with an object of that creating prints such as woodcut prints, etchings or a lithogragh influence ADHD children’s concentration and impulse. Give an opportunity to express after observing children’s working attitude during art therapy class. In order to observe change of concentration, let joint researcher check the duration of concentration and record its average in a chart. Moreover, define a subject in the study and using Abbreviated Conner’s Parent Rating Scale which is a tool to measure effect of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rt therapy though creating prints is effective for controling ADHD children’s concentration and impulse. Although there are many art therapy programs nowadays, its effect depends on the way of program.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making them have enough confidence though repetitional success. This study shows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have confidence though having successless experience like mentally retarded children should have experience from their learning (Schloss, Alper & Jayne 1994). These activities creating prints induce people to make plan naturally when they sculpture or sketch, and they not only strengthen mental ability but also develope their self- moderation, plans and concentration because they could learn how to adjust consistency of colors. However, there are barely reference books, and this study has no contrastable subjects. In addition, the number of subjects is too small to make it have university. In the future study, this weakness has to be complemented.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2007;2(1):53-63)

한국어

본 연구는 판화활동이 ADHD 아동의 집중력향상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2007년 1월 23 일 부터 2007년 4월 17일까지 주􀙛1회, 총 12회기를 진행, 연구 하였다. 미술치료 활동 시간에는 작업 활동에 임하는 태도 를 관찰하고 완성 작품을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며 그 대화 속에서 연구 대상자의 심리를 파악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 회를 주었다. 주의집중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객관화된 평가를 위해 공동 연구자가 주의집중 지속 시간을 재고 평균을 내어 관찰기록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ADHD 연구에서 피험자를 정의하고 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많이 쓰이는 단축 형 코너스 부모 평가척도 (Abbreviated Conners’s Parent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치료시간 이외의 행동에 대하여도 측정 했다. 그 결과 판화를 통한 미술치료는 ADHD􀙛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술 치료 프로그램에는 여러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어떤 매체를 어떤 대상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치료 효과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의 경우에 반복된 성공을 통하여 충분한 자신감을 얻게 하는 방식으로, 학습에서의 경험을 조성해 야 한다(Schloss,􀙛Alper & Jayne, 1994)는 연구에서처럼 완성도가 높은 판화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경험을 체험하여 자신감 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판화활동은 원판을 조각을 하거나 밑그림 스케치를 할 때에도 자연스럽게 계획을 세우도 록 유도하며, 물감의 농도에 대한 조절을 학습하게 되므로, 정서적인 강화뿐만이 아닌 판화의 학습적인 효과도 보고되어, 자율적 인 절제와 계획 그리고 집중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미술치료프로그램에서 판화를 통한 연구가 별로 없어 참고자료가 부족하고, 본 연구에서도 대조군이 없고 표본의 수가 적어 연구의 결과를 보편화하기에는 미약하다. 앞으로의 연구 에서는 이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07;2(1):53-63)

목차

ABSTRACT
 서론
 이론적 배경
  1. ADHD의 정의와 진단기준
  2. 판화의 개념 및 특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연구결과
  1. 직접관찰 결과
  2. 단축형 코너스 부모 평정척도(Abbreviated Conner ’s Parent Rating Scale)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부록

저자정보

  • 하경은 Kyung Eun Ha. 포천중문의대 보건복지대학원 임상미술전공
  • 민윤경 Yoon Kuung Min. 포천중문의대 보건복지대학원 임상미술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