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재외한인 연구의 새 과제

다문화정책과 한인 디아스포라

원문정보

Multicultural Policy and Korean Diaspora

권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made rapid economic growth from 1980' and the shortage of labour forces were felt in Korea. Many foreign labourers were invited to Korea and the interest on foreign labourers was increased. The concern on multiculturalism began from that time. It was a relatively new problem and still is an experiment. The theoretical basis of multiculturalism is very different from discrimination or assimilation policy. And it's theory is very closely related to pluralistic society of the post-nationalistic era. The theoretical basis of multiculturalism can be found in secular State theory. In this theory, the secular State can be a center of many religions but State itself have no concrete contents of any religion. This can be a model for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ism in a given State. The multiculturalism can be considered as a desirable policy but it has also it's own risk. Even now, almost all countries adopt assimilation policy and there is no country where multiculturalism is practiced fully in grand scale. This observation makes us to think that micro-level approach according to situation is more practicable. The imagined community can be obtained through the imagination which is called as identity. The most desirable access to this imagined community will be to secure maximum individual choice as well as fortifying this community.

한국어

한국이 고도성장을 통하여 노동력이 많이 부족하게 되면서 특히 1990년대 이래 외국인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민족들이 한국에 많이 거주하게 되면서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다문화사회의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비교적 새롭게 대두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볼 때 대개 인류사회는 타민족과의 관계를 구성하는 정책의 방향에서 볼 때 차별-동화-다문화주의의 역사적 경로를 거쳐 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종교에서의 세속주의 국가적 원리를 원용하여 문화에 대하여 이 개념의 적용하다면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근거가 확보된다고 보았다. 즉 중심은 있으나 그 내용은 비어있어서 소통이 가능한 그러한 모델을 다문화주의를 실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다문화의주의는 바람직한 정책방향으로 생각될 수는 있지만 아직 전면적으로 시행하기에는 많은 위험요소를 안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세계적으로 보아 다문화주의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는 나라들보다는 동화정책을 채택하는 나라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사실이다. 그렇기에 결국 상황에 따른 미세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차별, 동화정책에서 다문화정책으로
  1. 차별(discrimination)정책
  2. 동화정책
  3. 다문화정책
 III. 한민족공동체와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1. 한민족이라는 혈연적 공동체가 존재한다는 이론과 그의 비판
  2. 한국은 중심이고 디아스포라는 주변이라는 이론적 전제와 그의 비판
  3. 정체성의 근원은 한국이라는 이론과 그의 비판
 I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희영 Hee-Young Kwon.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