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재외한인 연구의 새 과제

글로벌리즘과 남북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인 디아스포라

원문정보

Korean Diaspor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uth-North Korean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ism

정영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fore forming a genuine people's nati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 the turmoil of a new world trend of the so-called denation. Until now, Korean Diaspora in foreign residence outside the peninsula has developed in widely differing ways, depending on periodic and regional circumstances. Starting with Korean Diaspora, which is regarded as a colonial people's separation caus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currently, the Diaspora has developed in varying forms, including overseas immigration from the south and North Korean defectors. National or national identity can chang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Especially, even though South and North Koreans are all Korean, both have totally different national concepts. The north made a new Kim, Il Sung People’s concept,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Korean people’s concept in South Korea. After the collapse of Eastern Europe, the origins of early socialism, North Korea adopted the nationalist concept to maintain the regime centering on Kim, Il Sung. It is a pressing matter for us to reestablish a national concept that encompasses both south and north, and that also includes Korean Diaspora, as we prepare for the peninsula’s eventual reunification. Korean Diaspora studies have the urgent task to achieve this. In this report, we reviewed the various statuses of Diaspora and considered how to seek a new direction for Korean Diaspora as an answer to how we might approach and resolve the problem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communities in the current situation, accompanied by an increasing pace of globalism.

한국어

한반도는 탈민족이라는 새로운 세계적 조류에 휩싸이고 있고, 지금까지 재외 한인 디아스포라 역시 시대적, 지역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다. 일제시기를 통한 식민주의적 민족 이산(離散)으로 이해되는 한인 디아스포라를 시작으로 현재는 남한에서의 해외 이주, 북한의 탈북 이민자들을 포한한 다양한 현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민족의식이나 민족정체성도 상황이 바뀌고 있으며, 남북 분단으로 인해 같은 한민족이라 하더라도 북한과 남한의 민족 개념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남북한, 해외 동포를 아우르는 민족 개념을 재정립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는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현황을 파악하고, 글로벌리즘이 전개되는 현 상황에서 남북공동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해야 하는 가에 대한 해답으로서 한인 디아스포라의 새로운 방향을 어떻게 모색해야 하는 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개인으로 자립하는 것과 민족적으로 사는 것이 모순되지 않음을 한인 디아스포라들이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남북통합을 어떠한 형태로 이룰 것인가는 점진적인 통합 방안을 지향하면서 통일 로드맵을 만들어가야 하겠지만 민족 정체성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구축해 나가는 것임을 재중 조선족, 재일 한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정체성의 다수성과 유연성을 통일 과정에서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언젠가 실현될 통일 후의 한반도는 글로벌 경제에 통합된 남한이 주도할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럴 때 지금까지 살펴본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제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통일 한국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한인 디아스포라는 북한 동포를 어떻게 포용하여 함께 살아가야 할 한민족공동체 구성원으로 만드는 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한인 디아스포라 상황의 다양성
  1. 중국의 조선족
  2. 재일 조선한인
  3. 구소련 국가독립연합의 고려인
  4. 북미주 한인
 III. 글로벌리즘과 한인 디아스포라
  1. 한인 디아스포라의 실존과 접근방법
  2. 글로벌리즘과 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IV. 남북공동체의 디아스포라적 접근
  1. 남북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내외적 문제
  2.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와 남북공동체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영순 Young-Soon Chung.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