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전남 고흥군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Present State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 based in ko-heung Jeon nam

김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status identification and the issues raised in a systematic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through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o propose. The purpose of the social welfare of local residents, Goheung participation and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s studi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ther they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the purpos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was carried out.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by conduct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Ongoing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o become community-oriented welfare service, first as a financial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ith the commitment of central government and its organizations and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assessment of problems with the supplement and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and officials in charge of the effort will be needed doegetda active participation. Jeonnam Goheung area for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look a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First, Jeonnam Goheung area of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structure-function problems in different population categories are extremely qualified service layer consists of an integrated system of service delivery is difficult. Functional dis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s and duplication of nine trillion a serious problem and adjust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services, there have not been easy to correlate. Moreover, the centralized structure of the delivery system got a diverse community to respond adequately to social needs in a community based service system is difficult to establish. Goheung beneficiary in the region actively and voluntarily respond to the needs of the room is extremely limited. Active and community-based self-service capabilities of the network is difficult to expect. Significant government subsidies in the form of financial aid to the achievement of social services and government functions to the private sector to foster the type of operation is taking. In addition, consistency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is not secure. These services deal with the problem as the person who is the problem, go to a variety of highly complex and specialized of these issues are involved is difficult to secure a structural. Second, the social welfare area, Jeonnam Goheung personnel problems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 service delivery system, the role of the specialist is very important point, despite the current public delivery system, not the absolute lack of expertise and services dedic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civil servants it is difficult to expec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현황파악과 문제점 제기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은 고흥지역주민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참여여부와 사회성에 관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 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지역주민중심의 복지서비스가 되려면, 첫 번째로 재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중앙정부와 자체단체의 확고한 의지와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한 문제점의 보완 및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담당공무원의 노력과 지역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겠다. 전남고흥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전남고흥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조기능상의 문제점은 각기 다른 인구 층에 극히 범주화된 서비스 체계로 구성되어 통합적인 서비스 전달이 힘들다는 점이다. 서비스간의 구조기능상 단절성과 중복성의 문제도 심각하여 서비스간의 역할분담과 조정, 상호연계가 수월하게 이루어져 있지 않다. 더욱이 전달체계는 중앙집권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지역사회 사회복지 욕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서비스 시스템의 수립이 어렵다는 점이다. 고흥 지역 내의 수혜대상자의 욕구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여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능동적이고 자체적인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서비스 네트워크의 기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크게 정부에서 정부보조금으로 재정보조를 하는 형식과 정부의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기능을 민간에 위탁 운영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전달체계의 일관성과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런 서비스 문제는 사람이 사람으로서 다루는 문제이므로,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것이어서 이러한 문제를 개입하는 전문적성의 확보가 구조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전남 고흥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인력상의 문제점으로는 서비스 전달체계에서는 전문가의 역할이 아주 중요한 포인트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적 전달체계에서는 전문 인력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서비스전담 공무원의 전문성을 기대하기는 아주 어려운 실정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2. 사회복지 전달체계
  3.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근거법
  4. 사회복지사무소의 설치원칙
 Ⅲ. 사회복지 서비스전달체계 현황
  1. 전남고흥군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2. 전남고흥군 사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3.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Ⅴ. 연구결과 및 논의
  1. 전남고흥지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연구결과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주연 KIM JU-YEON. 명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