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복지사회 실현을 위한 보육정책의 방향

원문정보

Possible Ways of Korean Childbirth Policy in the Face of Low Birth Rate

김주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tential causes of low birth rate in association with childcare policy, and was also to find out possible ways to improve questions in current childcare programs in operation and overcome the issue of low birth rate.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much do our users feel satisfied with each type and service role of childcare facilities? Secondly, what are the issues and improvements in oper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to encourage childbirth? Thirdly, how can we expand supply of childcare facilities and extend customized childcare programs for social weak classes? Fourthly, how much do our users feel satisfied with any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y environment and program to meet their needs? Fifthly, what are the issues of current childcare policy as well as the improvements for the principal of each childcare facility? And how can we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otential users at childcare services?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distributed total 383 questionnaires to the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local childcare facilities in Changwon city, Kimhae city, Jinhae city, Changnyeong- gun, Euiryeong-gun and Hamyang-gun of Gyeongnam province for survey an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se procedures,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t was found that major 4 categories of childcare facility (i.e. national or public / corporate / private / domestic) as well as detailed categories of childcare facility (e.g. customized childcare facilities for social weak classes, workplace childcare facility, non-corporate childcare facility, integrated childcare facility, extracurricular childcare facility, night childcare facility, around-the-clock childcare facility, and holiday childcare facility) had a tendency to prefer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facility and the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for social weak clas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issue of operating childcare facilities for encouraging childbirth involved the issue of additional childcare expenses, and our parents hoped that they would get advantage points in various tax systems and movement into apartment, and there would be also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Thirdly, with regard to supply of childcare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our parents demanded expansion of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customized childcare facilities for social weak classes.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model and repair several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if at the expense of same budge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rather than to install additional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it was found that they felt it required to install a variety of customized childcare facilities for social weak classes in advance of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facilities. Fourthly, it was found that our parents felt it very demanded to improve the issue of unsatisfied needs for the environment and program of childcare facilities. They felt it more demanded to improve management and operation aspects of childcare facilities (safety, health, sanitation, nutrition and feeding) rather than policies for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they had highest preference for personality education as a part of childcare program, which was followed by sociality education and basic daily habits of life.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high tendency to view in favor of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at childcare programs. Fifthly, in regard to issues of current childcare policy,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y operator and parents' satisfaction with childcare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our parents hoped to benefit from the expansion of governmental supports for childcare expenses and extracurricular private education expenses till the completion of middle school course. And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central government or local authority as the operator of childcare facilities rather than religious institutions or local welfare center or corporate organizations. In terms of satisfaction at childcare facilities, it was generally found that our parents viewed it important to extend or improve supports involving policy, expense, environment and program. Summing up, this study focused on our childcare policy to find out potential causes of low birth rate.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our parents hope to benefit from m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financial supports on national basis. If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services are operated to meet more needs of our parents,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we will overcome low birth rate. And this study also gives us a sense of hope that more proactiv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on nationwide scale will contribute to turning back to a state of high birth rate to balance demand and supply of manpower beyond the yoke of state with lowest birth rate around the world.

한국어

본 연구는 복지국가 실현을 위해 저 출산 시대의 원인을 보육정책을 통하여 연계성을 알아보고 보육의 운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저 출산을 극복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시설의 유형과 서비스 역할의 이용자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출산 장려를 위한 보육 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가? 셋째, 보육 시설 공급 확대와 맞춤형 취약 보육의 확대 방안은 어떠한가? 넷째, 보육 시설의 환경과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욕구도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보육 정책의 문제점과 보육시설 운영주체의 개선점 및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밝혀내기 위해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창원시, 김해시, 진해시, 창녕군, 의령군, 함양군의 보육시설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 383부를 통하여 빈도분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유형인 국공립 보육시설, 법인 보육시설, 민간 보육시설, 가정 보육시설, 크게 4대 분과와 각종 맞춤형 취약 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 법인 외 보육시설, 장애통합 보육시설, 방과 후 보육시설, 야간 보육시설, 24시간 보육시설, 공휴일 보육시설, 등의 시설을 살펴본 결과 국공립 보육시설의 호응도는 매우 높았으며 취약 보육시설의 확대와 선호도는 전체수에 비하여 모두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둘째, 출산장려를 위한 보육시설 운영의 문제는 보육비용의 가중 부담의 문제로 나타났으며, 각종 세제 및 아파트 입주시 가점 부여 등과 맞춤형 보육의 운영 형태가 제도적으로 개선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 공급은 국공립의 확대와 맞춤형 취약 보육시설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예산이라면 여러 개의 민간 시설에 나누어 개보수 하여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국공립 보육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 이라는 분석과 각종 맞춤형 취약 보육시설을 국공립 보육시설 보다 우선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환경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개선하여야 한다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과 환경 정책보다는 안전, 보건, 위생, 영양, 급식 등 관리운영 개선을,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인성교육이 매우 높았으며, 사회성교육, 기초 생활습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다섯째,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운영 주체 개선 및 만족도에서는 보육비용과 방과 후 보육과 중학교까지의 사교육비 지원 확대를 원했으며, 운영 주체로는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방법과 종교시설에서 운영하거나 복지관 또는 법인 시설에서 운영하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정책, 비용, 환경 및 프로그램 등 지원 확대가 개선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었다. 이상과 같이 저 출산의 원인을 보육정책에서 살펴보았다. 대체로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많은 제도 개선과 비용의 지원을 선호하였으며 부모들의 욕구에 맞는 보육 운영을 한다면 저 출산의 극복은 희망적이며 범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출산 정려 정책으로 세계 최저 출산률의 멍예를 벗고 노동 인력의 수평을 맞추는 다 출산국이 될 수 있다는 희망감을 보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보육 정책의 개념과 기능
  2. 저출산의 실태와 원인 및 보육정책의 중요성
  3. 경상남도의 보육 현황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IV.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보육서비스
  3. 보육정책
 V. 결론
  1. 보육 서비스
  2. 추가 출산
  3. 보육시설 공급
  4. 보육시설 환경 및 프로그램
  5. 보육 정책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주연 KIM JU-YEON. 명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