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화연구의 현실성 강화: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의 수렴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How to Enhance the Relevance of Modern Peace Studies?: Pursuing Harmony between Positive Peace and Negative Peace

朴輝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peace is a very sublime ideal, the realization of it will not be easy. The concept of "Positive Peace" was created by Norwegian Sociologist Johan Galtung as a typical idealistic approach to peace, but it reveals its weakness regarding the achievement for a practical and enduring peace in the world. Although the idea of Positive Peace was to emphasize the insufficiency of the Negative Peace, in other words absence of war, it over-expanded the concept of peace to all the human affairs including economic prosperity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s a result, it dissipated human efforts in the deterrence and prevention of war. Now that the arms race of the world, especially in the East Asia, seemed to re-start and nuclear proliferation was not effectively checked, the Positive Peace alone cannot be the reliable alternative. It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traditional Negative Peace concept. The human race should focus on the practical ways for the enduring peace instead of sticking to ideal approaches. It should expand its interests to general human affairs on the basis of strong emphasis on the deterrence and prevention of war as it did and succeeded in Cold War era. Especially, South Korea, which faces the continuous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including nuclear weapons needs to put more emphasis on the traditional war deterrence and prevention in harmony with interests in the Positive Peace.

한국어

평화가 중요하고 숭고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러한 이상만으로는 평화를 구현하거나 달성할 수 없다. 1960년대에 노르웨이의 사회학자인 갈퉁(Johan Galtung, 1930-)에 의하여 제기된 “적극적 평화”(Positive Peace)도 그러한 측면이 크다. 적극적 평화는 “전쟁의 부재”라는 전통적인 평화의 범위에 만족하지 않고, 인류사회의 모든 구조적 폭력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평화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그러나 적극적 평화는 평화를 위한 노력과 연구의 범위를 지나치게 확대시킴으로써 전쟁의 억제와 예방이 지니는 중요성을 망각하도록 만든 점이 있고, 인류의 모든 활동을 포함시킴으로써 “평화”만을 위한 연구와 활동의 집중성을 희석시킨 점이 크다. 평화연구의 생산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은 소극적 평화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쟁의 억제와 예방에 관한 사항을 폭넓게 수렴하는 것이다. 그러한 사항을 포함하지 않은 평화연구는 너무나 이상적이고 취약하기 때문이다. 평화는 주장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휴전선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대규모 군사력이 대치하고 있고,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은 가난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또다른 전쟁의 발발을 방지하고, 북한이 전쟁도발을 생각하지 못하도록 확고한 대비태세를 강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적극적 평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전쟁과 군사에 관하여 정확하면서도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의사가 질병을 이해해야 그것을 예방하거나 고칠 수 있듯이, 평화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전쟁을 이해해야 그것을 예방하거나 최소한의 피해로 처리하는 방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현대 평화연구의 경향 분석
  1. 세계적 경향
  2. 한국의 경향
  3. 분석
 III. 소극적 평화의 수렴
  1. 안보 연구와의 결합
  2. 현실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대안 제시 노력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朴輝洛 박휘락. 국민대학교 초빙교수, 정치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