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시 지방자치단체 학습동아리 참여공무원의 집단효능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Local-Autonomy-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Collective Efficacy up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Office

이영은, 기영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ive efficacy of public officials who were voluntarily joining and participating in study groups which were officially registered in the ever-learning system of Seoul Metropolitan City Office upon participants' learning satisfaction. Study subjects were 327 public officials who were active in the study groups in Seoul Metropolitan City Office. For this,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nfluence does 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collective efficacy have up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nd (2) 'What influence do 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personal variables have upon their collective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Study findings showed that 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collective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learning satisfaction. When their perception of study group itself and fellow participants were higher,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cquired from their participating in a study group, was also higher. In relation to personal variables, participants whose participatory motive was to expand human relations showed higher collective efficacy. And participants whose period of participation was 6 years and above and whose participatory motive was to acquire knowledge or technology presente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시 지방자치단체 상시학습체제에 정식 등록된 학습동아리에 자발적으로 가입하여 참여, 활동하고 있는 재직 공무원 327명을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집단효능감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 공무원의 집단효능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학습동아리 참여 공무원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집단효능감,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아리 참여 공무원의 집단효능감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높은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학습동아리 전체 및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동료 개개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개인이 동아리에 참여함으로써 배우게 되는 학습 자체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 중 인간관계 확장을 참여 동기로 가지고 활동한 경우 집단효능감이 높았고, 활동에 참여한 기간이 6년 이상으로 길수록, 그리고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자하는 참여 동기가 있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문헌고찰
  1. 상시학습체제와 학습동아리
  2.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의 특성 및 상호관계
  3. 학습만족
  4. 서울시 및 자치구 공무원 학습동아리 활동 현황 및 문제점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집단효능감과 학습만족도
  2. 개인적 특성과 집단효능감, 학습만족도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은 Young-Eun Lee.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박사과정
  • 기영화 Young-Wha Kee.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