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이탈주민 담론의 비판적 이해에 기초한 평생교육의 방향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North Korean An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North Korean

하지영, 백혜진, 김성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reasons for seceding North Korea, contexts surrounding them and their demands in relation to living are showing more diversified and composite pattern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adopted a policy to help the North Korean Refugees to stand on their own feet. Fundamentally, to stand on their own feet, they must respect themselves and recover their erudition. But the discourses in relation to North Korean Refugees have not been able to change how the natives think about them. The natives have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em. On the contrary the discourses have made and reproduced the recognition. The problems of the discourses on North Korean Refugees can be critically discussed in terms of first, confusions in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discourses, second, lack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and contexts surrounding them, third, the egocentrism of people making discourses.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has to perform a primary role to remove the negative recognition about North Korean Refugees. The roles are as follows; Most importantly, people who is working in the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connected to lifelong education has to use his/her language cautiously, and to reflect continuously. Second, lifelong education has to be based on the philosophy that people can trust the erudition of each North Korean Refugee. Third, in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to widen a scope of educational capital to break the discourses that they cannot adapt and succeed in Korean society. Fourth, in lifelong educa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to continue to research and develop a custom programs and strategies for their own HRD.

한국어

북한이탈주민의 수적 증가와 질적 다양화를 배경으로, 국내 관련 제도와 프로그램들은 그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차원에서 경제적, 사회적 자립(自立)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자립을 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자존감의 회복을 통한 배움력의 실천이다. 그러나 시기별로 귀순용사 담론, 탈북자 담론, 새터민 담론, 다문화주의 담론으로 명명될 수 있는 그동안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담론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 현상을 해결해주지 못해왔고, 오히려 담론들이 그러한 인식을 만들고 고착시켜왔다는 비판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첫째, 담론 존재 이유의 혼선,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맥락에 대한 이해 부족, 셋째, 담론자의 자기중심주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해, 북한이탈주민의 자립을 위한 평생교육은 무엇보다도 해당 연구 및 현장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민감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반성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북한이탈주민의 배움력을 신뢰할 수 있는 철학에 기반하고, 교육자본의 범위를 확장하여 그들에 대한 지원방식의 다양화가 담론의 초점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지향하며,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하는 맞춤형 인적자 원개발 전략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개발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방법
 3.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담론의 전개와 비판
  3-1. 담론의 전개
  3-2. 담론에 대한 비판점
 4.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평생교육의 방향
  4-1. 사용언어에 대한 주의와 지속적 반추
  4-2. 북한이탈주민의 배움력 신뢰를 위한 철학적 기반
  4-3. 교육자본을 확장․발전시키는 내용
  4-4. 맞춤형 전략의 질적 수준 제고와 개발의 활성화
 5. 결론: “이제 쓸모없는 사람은 없다”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지영 Ji-young Ha.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 백혜진 Hye-jin Bae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 김성길 Seong-gil Kim.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