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expression about both honorific language and gender concentrating on the examples in the 'peal woman' having searched until now can be arranged as follows. ①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ending-postposition it appears as words of female, male and neutrality, and the rate of using the female language is high. ② In the case of imperative statement males are more likely to use the common language, but in honorific words both gender are likely to us it neutrally. However, female are more rather than male in the rate of using, and there are dynamics in the expression of politeness and imperativeness in this work. ③ In the case of auxiliary verb, all gender can use it in the connection of meaning, and the intentional uses of polite language are lots of, particularly the women use it much more. Until now we have studied about the expression of honorific language and gender. We can see it particularly more in the ending-postposition. As the results after the research for the examples with the connection of the honorific, not common, and the gender, the rate of using the female language is higher and there are an expressinal differences between two gender. With the honorific language, the level of politeness i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conditional, mental, social roles. It doesn't belong only to the male and the female languages. Showing the talker's modesty without invading into the other's area is almost same in both genders in the aim to keep the polite level. The fact that there is a social value between both sexes means the deep 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Japanese language in terms of Japanese behavoral language. In the end, this study was not carried out due to the limited range of the study. The portion not having dealt in this research should be remained as the future work.
한국어
眞珠婦人에 나타나는 문말 표현에 있어서 경어와 젠더와의 상관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종조사의 경우는 「の, のよ , のね, わ, かしら, な, わね」는 여성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のだ, ぞ」는 남성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ね, よ」는 여성과 남성이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な」는 보통어인 경우 남성적 이미지가 강한 종조사인데, 眞珠婦人에서는 오히려 남성은 사용하지 않고 여성이 사용한 예만 출현하고 있었다. 종조사는 여성이 90% 가까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眞珠婦人의 주인공이 여성이기 때문에 여성의 대화문이 많이 등장한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명령표현의 경우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여성의 대화문이 많이 등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명령표현의 경우에는 종조사의 경우나 조동사의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남성이 많이 사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③ 조동사의 경우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 역시 여성의 대화문이 많이 등장한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2. 선행연구의 검토
3. 문말표현의 경어와 젠더
3.1 종조사의 경우
3.2 명령표현의 경우
3.3 조동사의 경우
4. 나오며
参考文献
要旨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