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일 유행가의 선동을 나타내는 어휘의 고찰 ― 1925년부터 1960년까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vocabularies describing instigation in Korean and Japanese popular song-From 1925 to 1960-

金姬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connotational characteristics of vocabularies describing instigation in Korean and Japanese popular songs based upon political, social conditions and public atmosphere from 1925 to 1960. During the earlier part of such period, vocabularies describing instigation frequently appear in Japanese popular songs where senses of purpose are expressed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戦い, 日本勝利, 団結, 自由, 誉, 東洋平和, 正義」 and senses of identity are expressed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吾等, 同志, 民衆, 武士, 日本魂, 友, 君等, 団結, 仲間」, whereas vocabularies like 「夜, 圧制, 爆撃, 荒海, 弾圧」 are described as objectives to be overcome. In Korean popular songs, instigation for immigration to China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만주, 살림, 나라, 역사」 appears. This indicates that policy for immigration to Manchu China was implemented at that time as a national policy. It appears, however, that Japan standing for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ried to instigate Japanese people through such instigative popular songs, but it was difficult for such instigative popular songs to be popular in Japan and it was even more difficulty for such instigative popular songs to be popular in Korea. During the later part of such period, instigations in a sense of idealism and instigations in a sense of practicalism are conducted according to inner awakening of members of society in Japan, differently from the earlier part where instigations for victory in wars have mostly appeared. Instigations in a sense of practicalism are expressed informing people social movements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労動者, 団結, 社会, 三池炭鉱, 工場, 仕事, 人民戦線, 人民, 解放, 汗, 学生, 闘い」 and social conflicts or political issues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公明選挙, 沖縄, 原爆, ベトナム兵士」. Instigations in a sense of idealism are also expressed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自由, 世界, 平和, 未来, 民族, 幸せ, 天国」. In Korea, instigations through vocabularies such as appear, however, they are not considered as instigations in a sense of practicalism but rather should be considered as instigations for active enjoyment by the youth of life.

한국어

한일 유행가의 선동을 나타내는 어휘의 비교고찰 본고는 1925년부터 1960년까지의 정치적, 사회적 정황 및 대중의 정서 등을 고려하여 한국과 일본 양국 유행가의 선동을 나타내는 어휘가 표출하는 의미적 특성을 비교고찰해 보았다. 전기의 경우, 일본은 선동적인 가사가 많이 등장함에 따라 「戦い, 日本勝利, 団結, 自由, 誉, 東洋平和, 正義」 등을 통한 목적의식의 표출과 「吾等, 同志, 民衆, 武士, 日本魂, 友, 君等, 団結, 仲間」 등을 통한 주체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夜, 圧制, 爆撃, 荒海, 弾圧」 등은 극복해야할 대상으로 표출되고 있다. 한국은 「만주, 살림, 나라, 역사」 등을 통해 중국으로의 이주를 위한 선동을 표출하고 있다. 국가 정책으로 만주 이주정책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동아공영을 표방한 일본의 자국 국민의 선동을 위한 국가정책적인 선동가가 국내에서조차 널리 유행되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일제강제 합병국인 한국 대중의 호응을 얻기에도 무리였음을 알 수 있다. 후기의 경우, 일본은 전쟁에서의 승리를 위한 선동이 주였던 전기와 달리 사회구성원들의 내적 각성에 따라 이상적인 의미의 선동과 실제적인 의미의 선동이 행해졌다. 「労動者, 団結, 社会, 三池炭鉱, 工場, 仕事, 人民戦線, 人民, 解放, 汗, 学生, 闘い」 등이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公明選挙, 沖縄, 原爆, ベトナム兵士」 등을 통해 사회갈등이나 정치적인 사안을 국민에게 알리는 실제적인 선동을 표출하고 있다. 또한 「自由, 世界, 平和, 未来, 民族, 幸せ, 天国」 등을 통해서는 이상적인 의미의 선동을 표출하고 있다. 한국은 「청춘, 젊은이, 희망, 부기우기」 등을 통한 선동을 표출하고 있지만 실제적인 의미의 선동으로 보기보다는 청춘의 적극적인 삶의 향유에 대한 선동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3. 선동(煽動)을 나타내는 어휘
  3.1. 일본의 경우
  3.2. 한국의 경우
 3. 비교
 4. 나오며
 参考文献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金姬廷 김희정.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