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에서 실리빈 (Silybin)이 체중 및 내당 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Silybin on Body Weight and Glucose Tolerance in High-fat-diet Induced Obese Mice

허행전, 황진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lybin on body weight and glucose tolerance in mice fed high fat diet mice. We found that body weight, plasma TG contents, fat size, glycerol, 3-hydroxybutyrate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ilybin (500 mg/kg)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high fat diet group. Whereas, total food intake was not changed between high fat diet group and high fat diet plus silybin group. Futhermore, supplement of high fat elevated the glucose intolerance and was improved in silybin supplement group. Fin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silybin on circulating adipocytokine level to explore the possible mechanism by which silybin improves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and diabetes. The silybin supple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adipocytokine, such as leptin, resistin, IL-6, and MCP-1 induced by high fat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ybin can be used to improve obesity and diabetes.

한국어

불규칙적인 식습관 및 스트레스는 현대인에게 있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이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국가적으로 많은 손실비용을 감당하게 된다. 다양한 질환들 가운데 특히 최근 에는 소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비만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 비만은 2차성 질환인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계 질환, 고지혈증 및 암까지도 유발하여 매우 심각 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만을 극복하기 위하여 약물투여, 수술, 식이요법 및 운동 등의 요법들이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항비만 치료약물은 두통, 구토 등의 여전히 많 은 부작용으로 인하여 비만 치료 과정중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식품소재를 통하여 부작 용이 덜한 항비만 기능성식품 소재의 발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리빈 (silybin)은 밀크씨슬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또는 엉겅퀴라고도 불리는 국화과 식물의 주요 활성성분으로서 밀크씨슬은 약 2000년 전부터 유럽 등에서 간질환에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보고에 의하면 실리빈은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1,2]. In vitro 또는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서 실리빈은 간독성에 대하여 보호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립선암 세포, 에스트로젠 의존 성 또는 비의존성 유방암 세포주, 자궁경부암 세포, 대장암 세포, 폐암 세포 등에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1-3]. 또한 안전성테스트에서 비교적 안전성이 입증 되었기에 천연 의약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최근 보고에 의하면, 실리빈은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억제 효과는 adipogenic 타겟 단백질인 CAAT/ enhancer binding protein-α, fatty acid synthase,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1 c, adipocyte-specific lipid binding prote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및 lipoprotein lipase의 발현 억제를 수반하며, 반대로 preadiocyte 마커단백질인 preadipocyte factor-1의 증가를 수반하는 것 으로 알려졌다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리빈의 비만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하고, 특히 동물모델을 이용한 비만예 방 및 치료 효능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고지방 식이 모델을 이용하여 실리빈이 비 만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혈액 및 조직의 지질개선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비만에 의해 유도된 내당 능 장애에 있어 실리빈이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약 및 기기
  2.2. 실험동물 사육
  2.3. 식이제조
  2.4.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모델
  2.5. 혈액분석
  2.6. 혈중 아디포카인 (adipokine) 분석
  2.7. 당 부하 검사
  2.8.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실리빈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3.2. 실리빈의 Glucose toler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3.3. 실리빈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3.4. Adipocytokine분비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감사
 References

저자정보

  • 허행전 Haeng Jeon Hur.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제론 연구단
  • 황진택 Jin Taek Hwang.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제론 연구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