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과 중국대학에서 디자인교육의 KSF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Key Success Factors of Design Education i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최우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the obligatorily required tasks for design educators to develop creative curriculum in design education among domestic universities as well as abroad. The contents in teaching design includ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including fieldwork to train the learners to be more competitive and creative designers in rapidly changing informative societ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urriculum in design in new approaches stems from inter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culture in the sense that the both reflect social trends. The core elements of design are corresponding to those of culture to achieve the informative society in terms of unity and merger. Although many universities are eager to develop innovative curriculum through the variety of approaches, the researches show that there have been discrepancies in evaluating the achievement of desig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ry to find core elements by statistic analysis in design curricula among universities between two countries, Korea and China as two countries are inter-related in economy, society, education, and culture. The result of research analysis is going to be applied into design education to extract the specified models for both nation's design education respectively.

한국어

국내외 많은 대학들에서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필수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교육과정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론적 교과 및 기초교과목들 그리고 현장실습을 통한 실무능력을 익혀 향후 창의적 디자이너로서 정보화 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학생을 교육하고 있다. 디자인은 한 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많은 관계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디자인교육에 있어 교육과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특성과 창의적인 교육내용은 정보화 사회를 위한 교육의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많은 대학들은 새로운 교육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혁신적인 교육과정을 다각적으로 개발 ․ 활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성과는 각 요인별 차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 ․ 중 수교를 계기로 경제, 사회, 교육,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 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과 한국 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특화 요소를 추출하여 교육성과에 대한 대학 요인별 평균값 분석을 통해 KSF를 찾아내는 분석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대학에서의 디자인교육성과의 특화요인을 제안하고, 향후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2. 디자인교육의 일반적 고찰
  2.1. 디자인교육에 대한 고찰
  2.2. 디자인 교육환경의 변화
 3. 한국과 중국 대학의 교육과정 실증분석
  3.1. 분석대상
  3.2. 분석모델
  3.3. 분석방법
  3.4. 요인별 분석
  3.5. 실증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우석 Choi, Woo-Seok. 영산대학교 CT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