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사회의 행위자가 갖는 사회적 실재감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t and social presence

정혜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at has changed the way of communication as well as that of thinking. It has even effected the custom of language usage in digital society. Especially, the word, 'presence', has been used as the right word which provides us critical basis to consider the phenomenological state of present digital society. According to the study, higher state of presence can be found through the high resolution video works such as 3D movies and AR/VR works in the first stage, which means we have to notice that such a feeling of presence works only externally. It might not be same as internal emotional feeling of presence, the perceptional state of reality. Compared with this result, more people can get emotional state of presenc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by Social Network Service o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t is the agent of digital society who has felt social presence throug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has lead innovative changes in the digital society as well. It is the fact that we cannot be overlooked as one of the noticeable ecological changes made by digital society. Thus, his study aims at not only having introsp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gent and social presence but also considering phenomenology in the present digital society that has to be interpreted as an ecology of digital media.

한국어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사회 내의 문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크게 바꾸었으며, 이를 이용하는 행위자들의 사고방식 그리고 그것이 외적 형태로 나타나는 언어 사용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실과 가상이라는 이중적인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실재감’이라는 용어는 현재 디지털 사회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현상학적인 고찰에 중요한 근원을 제공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3D 입체영상과 증강현실과 같은 고화질을 기본으로 설정되는 공간은 상대적으로 높은 실재감을 형성하지만, 감성적으로 평온함과 자연스러움을 제공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실재감을 높이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반면 컴퓨터로 매개된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현실보다 현실에 가깝게 재생산된 3D 공간에 비해 시공간적 실재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매개 환경에서의 새로운 생태학적 변화가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 매개 환경에서의 행위자 분석에 있어서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실재감을 넘어서 심리적인 교류와 공감을 형성하는 사회적 실재감을 인간의 본질적인 속성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하며, 이는 향후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의 변화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초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논의
  1) 실재감의 개념
  2) 실재감의 변인
  3) 행위자의 개념
  4)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 장의 특성
  5)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 장에서의 행위자의 실재감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혜욱 Chung, Hyeuk. 청강문화산업대학, 콘텐츠스쿨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