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새마을운동 이후 강원영동지역 농촌주택의 주생활에 따른 주거공간의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Housing Lifestyles of the Farmhouses in Gangwon Youngdong Province after Saemaul Movement

최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eats the analysis of how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farmhouses which were built by standard housing design drawing, standard housing design drawing with farmer's free will, farmer's free will drawing with the help of the persons concerned with architecture or farmer's free will drawing after the 1971 Saemaul Movement. So that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how the spatial composition of farmhouses in Gangwon Youngdong province continues to be sustain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housing lifestyles. Also it includes apprehending not only the tendency of spatial transformation and continuance but also the extension, renewal, and use change of residential space about the farmhouses through the analysis of living elements.

한국어

농촌지역의 주택은 1970년대 새마을사업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되어 왔으며, 그 이후 1980년대와 1990년대 도시의 산업화를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농촌지역 인구는 급격한 감소 양상을 보이면서 농촌주택은 공간사용 방식에 있어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사대상지역인 강원영동지역도 전통적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도시생활방식을 수용할 기회가 많아져 거주자들이 기존 생활방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을 무시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의 개조나 증축 및 용도변경 등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역사적 가치를 가진 주택들로 인하여 원형보존의 압력을 받고 있는 전통마을의 농촌주택이 아니라 주변의 자연조건과 사회조건에 대응하여 자생적인 변모를 거듭하여 온 ‘주거지로서의 지속성’을 가진 마을의 농촌주택 즉 농촌사회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모하여 온 자연발생적인 강원영동지역 농촌마을의 농촌주택이 주거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주거의 신축과 증축, 용도변경 등이 이루어지면서 주거공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농촌주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찾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조사대상 지역 및 농가의 특성
  2.1 조사대상지역의 특징
  2.2 대상 농가의 특징
 3. 주생활공간의 변화 형태
  3.1 옥외생활공간
  3.2 가족공동생활공간
  3.3 개인생활공간
  3.4 가사작업공간
  3.5 가족위생공간
  3.6 농작업용 수납공간
  3.7 가축사육공간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장순 Choi, Jang-Soon.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