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택지개발지구 상업용지의 블록구성 형태와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Block Structure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ite at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 Focused on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in Gwangju

박주원, 김윤학, 조용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land use plan and district unit plan with housing sites develop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area ratio, design structure, building location and u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lock structure(design structure) of commercial site within housing development project district showed road-centered composition along the main road and block-centered composition, and of these, road-centered composition had three types of planar symmetry, linear symmetry, linear + planar asymmetry. Internal road composing the block type showed a variety of 'ㄴ‘ type, ‘ㅡ’ type, ‘ㅡ’ +‘ㅐ’ mixed type, ‘ㄴ’ +ㅁ’ mixed type, ‘ㅡ’ +‘ㄴ’ +‘ㅐ’ mixed type and block structure of commercial site was profitable to make walking centered road composition attractive as shopping area. Commercial site at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was the focus of new downtown, but district unit plan guidelines including plot plan and use, arrangement and height of building and its exterior and roof style showed the limitation in making the image of an attractive commercial site. Accordingly, regulation and guidance of building use by street or floor(especially the 1st floor) with image making of height, roof style and exterior of the whole buildings at commercial site are required. Decentralized arrangement of public parking lot within commercial site and permission of parking lot by individual lot prevented commercial site from being walking centered street and became the cause of illegal parking. So commercial site should be changed into group parking style which guarantees pedestrian convenience escaping from decentralized arrangement of public parking lot or permission of individual parking within the block to be the stage of pedestrian-centered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개발된 택지를 중심으로 토지이용계획과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적절성 규명과 함께 상업용지를 중심으로 면적비, 디자인구조, 건축물 입지 및 용도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상업용지의 블록구조(디자인구조)는 크게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한 도로중심의 구성과 블록중심의 구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중 도로중심의 구성은 면대칭, 선대칭, 선+면의 비대칭의 3가지타입으로 나타나고 있다. 블록형태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도로는 ‘ㄴ’자형, ‘ㅡ’자형, ‘ㅡ’자+‘ㅐ’자 혼합형, ‘ㄴ’자+ㅁ’자 혼합형, ‘ㅡ’자+‘ㄴ’자+‘ㅐ’자 혼합형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상업용지의 블록구조는 보행중심의 도로구성이 상점가로의 매력을 만드는 데에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택지개발지구에서 상업용지는 신시가지의 매력을 만들어내는 초점이지만, 상업용지의 매력을 만들어내는 획지계획 및 용도, 건축물의 배치와 높이, 외관 및 지붕형태 등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은 매력적인 상업용지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상업용지 전체의 건축물의 높이나 지붕형태, 외관형태에 대한 이미지설정과 함께 가로별이나 층별(특히 1층) 용도에 대한 규제나 유도가 필요하다. 상업용지 내 공용 주차장용지의 분산배치와 개개 필지별 주차장의 허용으로 인해 상업용지가 보행중심의 가로가 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불법주차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상업용지는 보행자중심의 커뮤니티 장이 될 수 있도록 블록내의 공공주차장의 분산배치나 개별주차 허용방식에서 벗어나 보행자전용성을 보장하는 집단주차 등의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연구대상 상업용지의 블록구성 형태
  2.1 상업용지의 블록구성 패턴
  2.2 건축물의 형태
 3. 상업용지의 이용 특성
  3.1 가로 및 주자장 이용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주원 Park, Ju-Won. (주)원우기술개발
  • 김윤학 Kim, Yun-Hag. 조선이공대학 건축과
  • 조용준 Cho, Yong-Joon. 조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