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중층불전의 상층체감 기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opper Degression Method of Royal Places with Multi Roof In The Choson Dynasty

신웅주, 박강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flects on the mode of topper degression of royal places with multi roof and reflects on the features of a plane composition, furniture, and arrangement of gongpo which are the elements those can have an effect on the mode of topper degression. The mode structure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with multi roof which has various structure forms compared to single story wooden buildings was classified as three kinds by the vertical connecting method of amassed stories. In addition, the pattern of royal palaces with multi roof was verified in a consecutive structure mode and a compromising structure mode. In the royal places with multi roof which has a consecutive structure, inner-built pillars play role of outer-built pillars since twekan is markedly smaller than eokan. In contrast, twekan in a compromising structure mode has a large value because it is a technique with an intention of intentional space insurance for arranging gongpo in the width of twekan which lose size by degression related to a topper gongpo arrangement plan. This verifies that setting up gap between pillars and the setting up distance between gongpos have a mutually close relation. It was certified that various structural methods were applied to unite inner-built pillars and outer-built pillar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besides tewryang, changbang, cyumcha and dual tweryang were used to construct inner-built pillars and tewryang in a consecutive structure mode. In a compromising structure mode, changbang, a wooden floor gewtl, boaji, iron-ware and a direct structuring method of tewryang and girder were used. Gongpo style of royal places with multi roof were not limited to amassed stories building, but also were expressed similarly to buildings with similar use, so the gongpo style reflects phases of the times. However,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topper stories choolmoks in buildings built earlier, and there were more choolmok in lower stories in the later built buildings.

한국어

본 연구는 중층불전의 상층체감 방식과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인 평면 구성, 가구, 공포배열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것으로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층목조건축에 비하여 다양한 결구 형태를 갖는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조방식은 중첩된 층의 수직적인 연결 방법에 의해 세 종류의 가구방식으로 분류되었고 중층불전은 연속구조방식과 절충구조방식에서 그 유형이 확인되었다. 연속구조방식의 중층불전은 퇴칸이 어칸에 비해 현저히 작아 내진고주가 상층의 변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절충구조방식의 퇴칸이 큰 값을 보이는 것은 상층의 포작배열 계획과 관련하여 체감에 의해 줄어드는 퇴칸의 폭에 포작 배치를 위한 의도적인 공간 확보를 위한 기법으로서 주칸 설정과 포간거리 설정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층불전에는 내진과 외진의 일체화를 위해 다양한 결구법들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속구조방식에는 내진고주와 퇴량의 결구를 위하여 퇴량 외에도 창방, 첨차, 이중퇴량이 사용되었고 절충구조방식에는 창방, 마루귀틀, 보아지, 철물, 퇴량과 대량의 직접결구법 등이 사용되었다. 중층불전의 공포양식은 중층의 건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당시 건축되었던 유사 용도의 건물과 비슷하게 표현되어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상하층의 출목 수에서 시대가 이른 건물에서는 상층의 출목 수가 많았고 후대의 건물에서는 하층의 출목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이론고찰
  2.1 중층목조건축의 개념
  2.2 선행연구고찰
  2.3 조선시대 중층불전의 유형
 3. 조선시대 중층불전의 상층체감 방식
  3.1 내진구성과 공포의 배열
  3.2 상하층 공포의 출목
  3.3 가구구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웅주 Shin, Woong-Ju. 나라문화재연구소
  • 박강철 Park, Gang-Chul. 조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