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direction of cultural industries for future as next generation's development power
초록
영어
Rec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dustrial paradigm, economy in contents based on culture has been developed, and this kind of change is related to the orientation of cultural industry which is paid attention to next generation's development power. The important factor is that policy direction must focus on improving cultural life's quality of the public who is consumer, producer and needer. Cultural industry policy has centered on regulation than promotion, until now, and then the paradigm has changed to promotion. However, as innovated paradigm such as development of TGiF and social network changes the way, territory and philosophy in supporting system should be changed. In this point of view, this treatise raises the theme up, that is government's role and policy direction for in the range of the vision and goal which shows "powerful country in contents, becoming one with culture". If consumer oriented policy is perspected in this point of,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cultural industry will be captured.
한국어
최근의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문화가 기반이 되는 콘텐츠 기반경제의 발달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문화산업의 발전방향과 연관이 있는데, 중요한 것은 소비자이자 생산자, 수요자인 국민의 중요성에 따라 문화적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정책방향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화산업정책은 진흥보다는 규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며, 진흥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어 왔으나, TGiF와 소셜네트워크의 발전 등 혁신적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지원방식과 영역, 지원의 철학은 변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화로 하나되는 콘텐츠강국’이라는 비전과 목표, 과제들을 제시하고 향후 정책방향의 전환 방향과 정부의 역할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 고객 지향적인 정책방향이 견지된다면, 미래 문화산업의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의 특성
2. 시대의 변화에 따른 문화산업의 경쟁력 지원방향
3.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미래비전과 중장기계획의 수립
4. 문화산업의 미래상을 위한 목표설정
5. 문화산업의 중장기적인 비전의 설정
6. 향후 추진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