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공립박물관의 학예전문인력 실태와 쟁점

원문정보

Status and Issues about Curator of Public Museums

김윤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the 103 public Museum is located, which is the largest percentage of museum of Korea. The public museum, each has own 'local' history and do its duties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e to mee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suffering from performing effectively, the public museum's ongoing construction of the situation suggests that the future number of public museums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more. The public museum in order to function as a museum of architectural form and structure not only hardware but also software as part of a museum exhibition are part of the organization and staffing, budget and profitable project and should always be completed.Recently various issues that carry out public museum,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pecially curator in museum. Public museum of local governments are operating in the facilities management mainly passive, professional human resource specially curator system is poor. The 98gaentire staff of public museum, curator is just 181 people, the rest 808 people is administrators, managers, so that curator just over 20% rate is not satisfying. New trends about hiring curator is when curator hiring local government of public museums as curators in the province will employ a full-time contract. Full-time curator of the local contractor is hiring again within 5 years of living the type of work in the form of employment, the curators such conditions can not unfold as an expert opin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e pursued limited operations. Curator of the re-education on the grounds of the practical constraints are not being implemented, curators of the training is absolutely not related to the lack of replacement staff member does not improve due to the complement system, which will have to be sure. Until now, curator working in the field of direct civil servants have been performed correctly identify. From now, the museum curators and those who work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reality that should be studied Determine the future status of the specific associations and academia through the research effort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and sets the more confidently establish the phase of the curator's status.

한국어

한국의 박물관 중 공립박물관은 103개소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공립박물관은 각 ‘지역’의 역사 문화의 정체성 확보와 지역민의 문화욕구 충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곳인데, 현재 추진 중인 공립박물관의 건립 상황으로 보아 향후 공립박물관의 수는 더욱 더 늘어날 전망이다. 공립박물관이 박물관으로써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건축의 형태와 구조의 하드웨어적인 면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 등의 소프트웨어 부분과 운영부분에 있어 조직과 인력, 예산확보와 수익사업 등이 반드시 갖추어져야 한다. 최근 공립박물관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 중에 전문인력 -학예연구사 부분이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박물관들이 시설관리 위주로 소극적으로 운영되어, 전문 인력의 구성과 학예시스템이 부실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공립박물관 전체 직원 989명 중 학예연구사는 181명이고, 행정직, 관리직 등 학예사 외 직원 808명에 비해 학예사의 비율은 20%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학예직 채용과 관련한 새로운 경향은 최근 지방자치단체의 공립 박물관에서 학예사를 채용할 때 지방전임계약직으로 채용하는 것이다. 지방전임계약직 학예연구사는 한번 채용되면 5년 이내에 근무하는 형식의 고용형태로, 이와 같은 여건은 학예전문가로서의 견해를 펼칠 수 없고 행정조직의 틀 안에서 제한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수밖에 없다. 학예연구사의 재교육 또한 현실적인 제약의 이유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고, 학예사의 교육과 관련해서는 절대적으로 대체 인력의 부족과 부재 등의 이유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반드시 제도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학예직공무원의 현장에서의 업무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제는 박물관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학예사들의 실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구체적인 현황파악과 연구를 통한 협회와 학계의 법률적인 제도 개선노력으로 더욱더 당당하게 자리 매김할 수 있는 학예연구사의 위상이 정립되길 바란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면서- 공립박물관의 현황
 Ⅱ. 공립박물관의 학예전문인력
  1. 학예전문인력의 현황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아 Kim Yoon-Ah. 하남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