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복합생약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쥐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Combined Plant Extracts on Anti-obesity in Rats Fed a High-Fat Diet

박종배, 이혜숙, 황석연, 홍승복, 김희동, 윤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of combined plant extracts(Mori folium and Mori cortex radicis, 7:3) in male Sprague-Dawley rats(180 ± 3 g) fed high fat diets for 8 week.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 normal diet group(ND), a high fat diet group(HFD), a high fat diet and combined plant extracts 1% group(HFD+ 1%), a high fat diet and combined plant extracts 3% group(HFD+3%) and a high fat diet and combined plant extracts 5% group(HFD+5%). The body weight of HFD group were heavier than those of ND group, whereas those of groups administered combined plant extracts were gradually decreased after 6 weeks. The activity of serum AST th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high fat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ombined plant extracts administration.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mbined plant extracts administered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etween experimental groups. Theses results suggest that combined plant extracts may inhibit obesity in rat fed HFD.

한국어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복합생약추출물로 인한 체중, 혈청 지질 대사 개선 및 항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4주령 된 흰쥐 수컷 50마리를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와 복합생약추출물 급여군(HFD+1%, 3%, 5%)군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군은 체중이 증가하였고, 복합생약추출물을 첨가한 시험물질 급여군은 6주 이후 체중 증가가 억제되었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의 AST 활성,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함량도 복합생약추출물을 첨가한 시험물질 급여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 ALT 활성, ALP 활성은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혈청 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고지방식이와 복합생약추출물을 혼합투여 하였을 경우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복합생약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향후 보다 심층 있는 연구를 통하여 비만 관련 의약품,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시험물질
  2.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조성
  3. 체중 및 장기 무게의 측정
  4. 혈청 지질 함량 측정
  5.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1. 체중 및 장기 무게의 변화
  2. 혈청 중의 ALT, AST 및 ALP 활성
  3. 혈청 중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함량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종배 Park, Jong-Bae. 주성대학 방사선과
  • 이혜숙 Lee, Hye-Sook.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 황석연 Hwang, Seock-Yeon. 대전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홍승복 Hong, Seung-Bok. 주성대학 임상병리과
  • 김희동 Kim, Hee-Dong. 대한적십자사 중부혈액검사센터
  • 윤치영 Yun, Chi-Young.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