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가야금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연구

원문정보

Methodology for developing Basic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the Gayageum

송혜진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6호 2011.02 pp.139-17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on 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rational and basic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the gayageum, which enables students to comprehensively learn the educational contents essentially required for all beginners in the instrument. In 2002, in another paper entitled,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oretical system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I have already suggested various issues that spring from teaching gayageum, strongly advocating for sequential research on the topic. Ever since, I have continued pursuing this issue with students of gayageum,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to learn if they need a special course according to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and whether developing creative teaching methodology based on step-by-step learning and systematic etudes is necessary for their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learning system and methods for developing etudes for the 12 and 25-stringed gayageum, based on the result of my compiling of basic disciplinary works for the gayageum and its application on the students for 12 weeks. This paper first looks at what is considered important in most textbooks for teaching he piano, violin, and guitar, followed by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teaching manuals for gayageum currently used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s. Then it suggests 4 types of systems as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systematic teaching for the basic disciplinary etudes for the 12 and 25 stringed gayageums respectively. First, the essential constructive elements necessary for basic disciplinary system of gayageum is categorized into basic learn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the premises that creative and multiple application system and related etudes must be developed, I have suggested, for the 12 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program note forms' and, for the 25-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to play chords.' I have decided also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presuppose different learning levels for teaching gayageum, for each of which various systems for learning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musical examples accordingly;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training your fingers' 'etudes' and 'stage pieces.' In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special care is given to learning to read scores and symbols, as well as training to make sound and different tone colors. This is supported with tips for learning lower and higher technical levels, as well as practice methods for correcting your techniques and for learning various musical expressions. Etudes are partial arrangements of established musical pieces to suit gayageum performance. The subjects for the pieces were chosen based in the consideration that this is for basic learning and that it should promote the deepening of musical abilities required for playing traditional pieces. Therefore, the etudes include mostly folk songs, but for the 25 stringed gayageum, I have included newly composed children's songs for the basic level and folk songs of other culture and popular tunes for the application level. The resulting 30-70 etudes, categorized into different practice levels, were test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which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allows a step-by-step learning, by altering the level of etudes according to one's present abilities. 2) For each technique, four levels of difficulty are provided; ①basic melodic forms ② its application ③ etude ④ musical piece. Such format allows a more efficient learning compared to other currently practiced textbooks. 3) Experiencing and learning various musical pieces and rhythmic forms through etudes and musical pieces, learning musical features of local folk songs and their unique musical expressions, and playing with a special attention to expressive symbols. 4) Each section is not too extensive, designed in order to motivated students to keep going without slackening their energy. I have no doubt that such study as this, of the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 for the instrument, has already been formulated in the minds of most textbook designers and teachers of gayageum. However, there was no sufficient discussions on what kind of system would be most appropriate, which leads to mere duplication of current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required a more logical approach and open discussions on the disciplinary system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방법론 연구이다. 필자는 「가야금 교수이론 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2002)를 통해 가야금 교수이론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奏法 학습 이전의 통합적인 음악성 향상을 위한 학습 목표의 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효율적인 연주를 위한 자세와 연주법을 주제로 한 「가야금 초기 연습 방법론 연구(1)-신체 운동 원리와 연주 자세」(2004)를 발표하였고, 가야금 기초연습의 합리적인 체계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연습곡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관련 교재 연구와 실습을 진행해왔다. 기존의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 저작물과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등의 기악 교재, 일반적인 음악 교수법 등을 참조하여 가야금 기초 학습 및 연습곡 체계를 구상하는 한편, 대학원에 ‘가야금교수법’이라는 학과목을 개설하여 실기전공자들과 함께 집중적으로 토론하면서 연구의 기초영역을 넓힌 결과를 종합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논의와 그동안의 실습을 통해 검증과정을 거쳐 ‘기본연습과정’과 ‘응용연습과정’으로 구분하여 4가지의 연습체계로 구성하였다. 일반 기악연습의 예와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에 적용된 방법론을 살펴본 결과 보다 효율적인 연습을 위해서는 단 권으로 이뤄진 교본보다 연습체계와 연습곡이 각각의 목표에 맞게 설계되고, 지도자가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습을 위한 창의적인 다양한 응용연습체계와 이에 맞는 연습곡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12현의 응용연습과정에서는 ‘표제적 음형 연습을 위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25현 가야금 응용연습과정에서는 ‘코드 익히기를 중심으로 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제시하였다. 연습체계에서는 난이도를 고려한 단계별 학습체계가 효율적임을 검토하였고, 각각 ‘주법익히기를 위한 간단한 악구’, ‘주법연습’, ‘연습곡’, ‘연주곡’의 체계를 수립하여 이에 맞는 곡들을 개발하였다. 간단한 악구와 주법연습은 각 단계의 목표에 맞게 새로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읽기, 부호익히기, 소리내기, 음색익히기, 이전 및 다음 단계와의 연계성, 수법 고치기, 음악표현력 익히기 등을 부수적으로 고려하였다. 연습곡은 기존의 악곡을 활용하여 악보를 가야금에 맞게 정리하거나 부분적으로 편곡하였는데, 악곡의 소재는 기초학습과정임을 고려하여 가야금 음악의 전통음악성 함양에 목표를 두어 주로 민요로 한정하였고, 25현 기초연습과정의 경우 창작국악동요를, 25현 응용연습과정의 경우 외국의 민요와 대중음악 등을 활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연습체계별로 30곡에서 70곡 정도의 연습곡을 마련하고, 실습과정에서는 이 체계와 연습곡이 1) 주법의 종류를 과정별로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높여 연습할 수 있다는 점, 2) 각 주법별로 ①주법 익히기를 위한 악구, ②연습, ③연습곡 ④연주곡으로 구성된 연습체계는 기존에 남한에서 간행된 교본류의 연습체계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점, 3) 연습곡과 연주곡을 통해 다양한 악곡의 체험, 장단 익히기, 지역별 민요의 음악성과 특징적인 표현법 익히기, 악상기호에 유의하며 연주하기 등을 익힐 수 있도록 고려한 점, 4) 각 과정이 너무 길지 않아, 다음 단계로 연습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도록 기획되었음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기초연습 체계의 구성요소와 설계
 Ⅲ. 가야금 기초연습과 연습곡 체계검토
  1. 가야금 주법별 연습체계
  2. 음악적 표현을 위한 연습체계
  3. 연습곡의 구성과 체계
 Ⅳ. 가야금 기초연습 체계 정립과 연습곡 개발 및 검증
  1. 연습체계의 정립과 악곡 개발
  2. 연습곡 체계 및 연습곡 검증을 위한 실습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혜진 Song, Hye-Jin.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