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지역문화진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문화예술경영

원문정보

Arts & Cultural management as a new paradigm of local arts policy

이철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s policy has been more important for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Meaning of dichotomy between center and local government has changed into mutual relationship. Configuration of arts' promotion by government also has changed into the united efforts of officials and people. Therefore role of arts management takes bigger part in such situation. It must be balanced between government and market and strengthen its function.
Unification and convergence have been crucial issue, today, and it makes people have balanced thinking, withstanding dichotomous conception and that's what arts management stands for.
After local self government, configuration of arts policy has been changed in the era of digital and cultural convergence, into self-independence and united efforts of officials and people instead of center-dependence, but unequaled information still exits.
As a tool of analysis this fact,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of institutional arts policy and residual arts policy, and tried to classify configuration of arts policy.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n't get into details of the subject and it will be next work.

한국어

정부의 문화진흥정책이 강화되는 추세다. 중앙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도 문화진흥정책을 중요시하는 경향이다. 중앙과 지방이라는 이분법, 상하관계 개념이 점차 상호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예술지형도 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술 진흥 유형도 관주도형에서 협치에 의한 관민 협동형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예술경영의 역할이 증가되고 있다. 예술경영은 관치행정과 시장주의를 극복하는 양극단의 어느 쪽에도 치우쳐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실패와 시장실패의 양극단을 극복하는 정부의 적절한 역할의 균형추 역할을 하면서 그 기능을 강화해 갈 것이다. 현대는 융합과 통합이 화두인 시대다. 융합과 통합은 이분법적인 인식을 극복하는 통합원리에 의한 균형적 인식을 전제로 한다. 이런 시대의 문화적 패러다임은 공존과 상생이다. 예술경영은 이러한 기능에 충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문화지형은 지방자치제 실시와 디지털시대, 문화융합의 시대에 걸맞게 그 지형이 그 이전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지역의 문화경영 및 정책의 유형이 중앙 의존형에서 자율 독립형, 관민 협동형으로 변화하고 있고 지역문화발신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보 비대칭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행사의 주제별, 추진주체별 등 전 분야에 걸쳐 다양성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제도주의 예술정책’과 ‘잔여주의 예술정책’ 모형을 제시하였고, 예술지형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런 분석모형 제시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분석은 각론 분석을 기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로 미룰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한계이자 향후 통합 연구의 과제가 될 것이다.
◦ 예술경영(art management), 시장실패와 정부실패(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한국문화진흥지형(configuration of arts policy), 제도주의 예술정책(Institutional arts policy), 잔여주의 예술정책(residual arts polic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지역문화진흥과 예술경영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Ⅲ. 한국 문화지형 형성의 흐름과 특징
  1. 문화분권 독립형 현상
  2. 지역문화발신 현상
  3. 관민 협동현상
  4. 문화를 정책 단위로 설정하는 현상
  5. 디지털 문화에 의한 탈 지역문화 현상, 역 세대, 양방향 문화현상
  6. 디지털 정보 시대의 의외의 정보 비대칭
 Ⅳ. 한국 지역문화 현상의 가설 모형 및 분석
  1. 문화유형
  2. 문화유형 분석
 Ⅴ. 연구결론과 한계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철순 Lee, Chul Soon. 예술의전당 예술기획 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