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탈중심적 지방예술축제: 대립이 아니라 융합이다

원문정보

Decentered local arts festival:Incorporation is mandatory

강윤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ritical opinion about the role of art i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lasses is saying that art discloses the hierarchical difference more clearly. For example, as french sociologist Bourdieu said, artistic inclination is internalized through training at home according to class and on the basis of this, artistic inclination becomes deepen and fixed by growing.
Hierarchy can be expressed through where people live. Citizens of Seoul in Korea or of Paris the city of art and of the other metropolises in the world enjoy privileges of art, and that is a kind of hierarchical privileges. Then, such regional, hierarchial privilege of art can not be shared with people in local city? Local people don't welcome arts festival like opera festival and the visitors of the festival from outside as a result of not understanding the art itself and having a sense of alienation. This question how to solve the problem became starting point of writing.
Integration and fusion in art administration can be integration and fusion between arts genre, but also can be found how arts could contribute for integration and fusion between different classes. This writing tried to propose about method which festival and local city can ‘win-win’ together through contribution of festival organizer for the local development or elaborate analysis of what people in local city really want in festival. For that purpose, arts festivals of Ireland and Scotland, Republic of South Africa are analysed. Of course, this analysis can not be directly used for Korean arts festivals in local city, because context of each country is different, but application is possible.

한국어

예술이 계층간 소통에 있어 하는 역할에 대한 비판적 의견은 예술이 계층적 차이를 더욱 뚜렷하게 드러내준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예술적 취향은 계층에 따라 가정 교육을 통해 내면화되고 그 바탕 위에서 이 취향이 성인이 되어서도 심화, 고정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데에 많은 예술사회학자들은 동의했다.
계층은 거주 지역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중앙집중화 현상이 심한 한국의 수도 서울을 비롯하여 흔히 예술의 도시라고 부르는 파리나 세계의 메트로폴리스 거주민들이 가지는, 예술 향유의 지역적 기득권은 가히 계층적 기득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지역적, 계층적 기득권을 지방 도시 거주민들이 나누어 가질 수는 없는 것일까? 자기가 사는 지방 도시에서 오페라 등의 고급 예술 축제가 열려도 정작 그 지역 거주민들은 그 예술 작품을 이해하지 못하고 소외감을 느끼며 그 결과로 외부 방문객들에 배타적인 시선까지 보내는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이 이 글의 출발점이 되었다.
예술 경영에 있어 통합과 융합이란 예술 장르간 통합과 융합일 수도 있으나 계층간 통합과 융합에 예술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찾는 것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축제 주최자들이 지역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지역민과 통합, 융합할 수 있는 방법 혹은 축제에 대한 지역민의 욕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축제와 지역이 함께 ‘윈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축제 사례를 살펴보았다. 물론 각 나라의 개별적 콘텍스트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사례에서 활용한 방법을 한국의 지방 도시 축제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겠으나 응용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목차

Ⅰ. 도시와 축제:과거와 현재
 Ⅱ. 지역민과 방문객간의 갈등 요소
 Ⅲ. 지방 예술 축제의 기여 사례
  1. 지속 가능한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투자 - 아일랜드 예술 축제의 경우
  2. 지역 공간의 재발견: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 축제
  3. 지역민 욕구에 대한 보다 정교한 조사: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예술 축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강윤주 Yunju Kang.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