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교육에 대한 대구시 초·중등학교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Cogni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Daegu

박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rctersitics of cogni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494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Daegu City. To obtain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perception, concept, necessity and rea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time and method to implement it. Teachers had the low level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emale teachers or teachers experiencing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clined to see it in the multiculturalism perspective; while, male teachers or teachers not having teaching it tended to understand it in the assimilation viewpoint. Most teachers consider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so that they thought that it would be necessary at schools. They cognized that it helped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tudents in mainstream culture and students in minority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from elementary school in holistic approach.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tion more strongly influenced on its cognition of teacher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sex, age and their school place.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would-be teachers and in re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teachers should be reinforc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구시 초·중등학교 교사를 사례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와 다문화교육의 개념, 다문화 학교교육의 필요성과 이유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실시시기와 방법에 대한 인식 실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는 보통 이하이며, 다문화 개념에 대해서는 여성과 다문화교육의 유경험자일수록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남성 혹은 다문화교육 무경험자일수록 종래의 동화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현재 학교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고, 그 결과 다문화교육은 필요하며, 그 주된 이유로는 주류문화집단과 다양한 소수문화집단 상호이해로 인식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되 범교과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속성은 성, 연령, 근무학교 그리고 다문화교육 경험이나 특히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점에서 예비교사 양성교육과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사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목적
  2. 조사대상과 연구방법
 II.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지정도와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식
 III.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이유에 대한 인식
 IV. 다문화교육의 실시 시기 및 방법과 교사양성교육에 있어서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1. 다문화교육의 실시 시기 및 방법에 대한 인식
  2. 교사양성교육에 있어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V. 요약 및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순호 Park, Soon Ho. 대구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