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고논문

수정본 ≪渤海考≫의 내용과 집필 시기

원문정보

The Contents and Writing Time of Revised Version of the Balhaego

수정본 ≪발해고≫의 내용과 집필 시기

김종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udeukgong(柳得恭) wrote the Balhaego(1784) to reconstruct forgotten history of Balhae through collecting piecemeal historical materials which have been recorded in various histories. The Balhaego has the significance not only as it was the first work about the history of Balhae but also it contained a critical mind that raised the Southern and Northern kingdoms period which Silla and Balhae stood together in the preface.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omitted historical materials and some faults were found i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when we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Balhaego. Recently, as the result of examining different versions of Balhaego which were reported in the academic world, it was checked that Yudeukgong must have revised the first draft.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draft and revised version gives as follow; the former was partially modified with the revision of words and add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the volume of the latter increased considerably as the story of Balhae's refugee who fled to Goryeo was added there. Meanwhile, the Jirigo was revised a lot. We can see that the investigation of geography shows fairly high standard.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 of the Yemoongo was just an add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to Gookseogo of first draft. Yudeukgong could write the Balhaego for the first time and published its revised version right after the first edition in the relation of intellectual fashion for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cholars to publish collections of books at athat times. That is, the Samhanchongseo, which was being worked by Park Jiwon around 1784 had reference to the first draft of the Balhaego. Sowhachongseo, being pushed ahead in the year of 1791 was connected with the revised version. Also, it was assumed that Yudeukgong might have written the revised version for the years from 1790 to 1795 considering he had kept his recognition about the geography of Balhae in his first official visit to Beijing in 1790 but changed his idea in 1795. After reviewing the five extant versions of the Balhaego, it is confirmed that Yudeukgong remodified the revised version more than twice. Therefore, we can reach that Yudeukgong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Balhaego as much as he could after 1800 to his last days.

한국어

유득공(柳得恭)은 역사에서 망각된 발해사를 복원하기 위하여 여러 사서에 단편적으로 기록된 사료들을 수집하여 ≪발해고≫(1784)를 저술하였다. ≪발해고≫의 의의는 발해사에 대한 최초의 저술이라는 점과 함께 그 서문에서 신라와 발해가 양립한 남북국(南北國) 시대를 제기한 문제의식에 있다. 그렇지만 ≪발해고≫의 내용을 살펴보면 누락된 사료도 적지 않고 고증의 오류도 발견된다. 최근 학계에 보고된 ≪발해고≫ 이본들을 검토한 결과, 유득공은 초고본을 대폭 수정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초고본과 수정본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군고는 자구 수정과 사료 추가라는 부분적 수정을 거쳤으며, 신고는 고려로 망명한 발해 유민 기사를 추가하여 분량이 크게 늘어났다. 그리고 지리고는 구성과 체계를 대폭 수정하였는데, 특히 지리 고증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반면 예문고는 초고본의 국서고에 사료를 추가하는 데 그쳤다. 유득공이 ≪발해고≫를 처음 저술하고 뒤이어 수정본을 낼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당시 실학파 사이에 유행한 총서 간행과의 관련성을 들 수 있다. 즉 박지원(朴趾源)이 1784년 무렵 진행하고 있던 ≪삼한총서(三韓叢書)≫는 초고본과 관계가 있고, 서형수(徐瀅修)와 이덕무(李德懋) 등이 1791년 무렵 추진하던 ≪소화총서(小華叢書)≫는 수정본과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유득공의 발해 지리에 대한 인식이 1790년 1차 연행까지 견지되다가 1795년에 바뀐 점을 감안하면, 수정본의 집필 시기는 이 사이로 추정된다. 한편 현재까지 전하는 ≪발해고≫ 수정본 5종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유득공은 수정본을 두 차례 이상 수정하였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1800년 이후 말년까지 유득공은 기회가 닿는 대로 ≪발해고≫를 수정ㆍ보완하였던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발해고≫의 異本들
 3. 초고본과 수정본의 내용 비교
  1) 君考
  2) 臣考
  3) 地理考
  4) 職官考ㆍ藝文考
 4. 수정 이유와 집필 시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복 Kim, Jong-bok.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