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 농촌 마을 비교 연구

원문정보

Influencing Factors in Social Capital and Regeneration of Residential Communities: Comparative Study on Housing Estates in Seoul and Rural Village in Yeoju

하성규, 박기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social capital has much mor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 creation of wealth than physical capital. Some western schola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social capital as an important element of modernization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Since the 1970s, Korean rural society has loosened the vitality in term of social capital mainly due to the aging soc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ural communities,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the age group. The respondents of the case study area are much older than the average age of urban areas. The rural residents have not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ffairs and various meetings. Second, it is an interesting finding that the rural community has illustrated relatively high score on the factors of social trust with neighbors than those of urban areas. Third, the role of actors (residents, governments, and NGO/non 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clarified in order to do th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social capital in rural communities. It is necessary for the rural communities to share experiences and to cooperate in our common endeavors and to strengthen the linking social capital with various public agencies, colleges, firm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한국어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자본은 전통적인 물적 자본보다 부의 창출 및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독특한 사회발전과 경제발전을 이룩한 한국과 일본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의 축적된 전통적 사회적 자본은 많은 서구 학자들에게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농촌마을은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 가고 있으며, 마을 공동체의 기반과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마을 주민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도시아파트단지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분석결과로는 첫째, 농촌주거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고령화의 관련성이다. 사례지역 후포리의 가구당 평균모임의 개수는 서울 사례지역과 비교하여 절반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참여 역시 매우 저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농촌마을은 도시지역에 비해 사회적 규범과 신뢰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도시와 비교하여 전통적 공동체 의식이 아직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고령화된 농촌마을의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해 제 주체(주민, 정부, 시민단체 등)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검토
  1. 사회적 자본
  2. 선행연구
 Ⅲ. 농촌마을과 도시 아파트 단지의 사회적 자본 실태분석
  1. 사례지역 선정과 설문조사
  2.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Ⅳ. 정책적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하성규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 박기덕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