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尹淳의 心學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Calligraphic Aesthetics of Yun Sun's Simhak

윤순의 심학적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장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ritical acceptance of Yangmyŏnghak(陽明學: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he Late Chosŏn period led to the free expression of personal emotions and spirits to deepen the Chin(眞: truthfulness) of oneself and Chadŭk(自得: self-satisfaction) in art. Especially, Chin and Chadŭk in calligraphy was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Tonggukchinch'e(東國眞體: literally, the true style of Chosŏn). Tonggukchinch'e that pursued a Chosŏn style of calligraphy in line with Chin and Chadŭk was the result of dialectical development of calligraphy that added the Yangmyŏngsimhak calligraphic aesthetics upon Chuchahak(朱子學: The Zhu Xi School of Neo-Confucianism) calligraphic aesthetics. At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was Yun Sun(尹淳, 1680-1741).
Yun Sun's sense of calligraphy had begun in the pursuit of Chunghwami(中和美: beauty of means) weighing on Pŏpko (法古: rooting in the old). He came to realize the art of true mind that was in accordance with his everyday life journey after he grasped the essence of the Simhak under Chong Che-Du(鄭齊斗)'s guidance. Thus the traditional confucius calligraphic sense of him was transformed into the calligraphic pursuit of true mind by the fusion of Chuchahak and Yangmyŏnghak.
This thought has evolved into his calligraphic aesthetics. He came to emphasize Ch'angkyŏngbalsok(蒼勁拔俗), the expression of independent aesthetics that moved beyond universal aesthetics to appreciate the truthfulness and individuality. That is, he reduced the elements of formal beauty and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mind-shape through the spirits and postures inherent in a brush stroke. It was on the other hand to oppose to Ŭikochui(擬古主義: slavishly mimicking the old), buried in the keeping the similarity of forms and mimicking.
He used to exclude calligraphies after Wang Hee-Ji(王羲之: Wang Xizhi) but gradually came to accept them critically. He appreciated the individualism of Yangmyŏngsimhak rather than the thoughts of means as he asserted that the best calligraphy was "what was against the eyes of people." His after-life honor is due to this pursuit of Chadŭk by embracing calligraphies of all schools without insisting on the Confucius calligraphic virtue and heresy. His spirit for change was based not just on his aesthetic tastes but on flexible thoughts building upon the fusion of Chucha and Yangmyŏnghak. That says pretty much why his calligraphy was called "Sich'e(時體: a poetic style).
His Sich'e, while having its grace and elegance, fulfilled all elements of formative beau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calligraphic styles, the elevation of aesthetic senses of the artist and the appreciator, and the sense of time. By projecting the individuality of the artist and the sense of time and not buried in mimicking the old slavishly, he realized the true Pŏpkoch'angsin(法古創新: creating the new based on the old) in calligraphy. He created the calligraphy of Chadŭk that had the elegance of the tradition as well as the aesthetic sense of the time by the fusion of chunghwami of Chuchahak and the individualism of Yangmyŏnghak. That is why we pay our attention to his calligraphic aesthetics.

한국어

조선후기 陽明學의 비판적 수용은 개인의 정감과 心靈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문예에서 성정의 眞과 自得을 심화시킨다. 특히 서예방면에서의 眞과 自得은 東國眞體 형성과 유관하다. 즉, 서예의 朝鮮風을 추구한 동국진체는 朱子學的 서예미학과 陽明心學的 서예미학이 융합된 변증적 서예발전의 결과이며, 그 중심에 尹淳(1680-1741)이 있었다.
윤순의 서예인식은 法古에 비중을 둔 中和美 추구에서 시작된다. 그러다 鄭齊斗의 문하에서 心學의 요체를 이해한 후 스스로가 처한 삶의 현장에 부합되는 實心의 문예를 자각한다. 그리하여 전통 유가적 서예인식에서 점차 주자학과 양명학의 圓融에 의한 實心의 서예추구로 전환된다.
이러한 사유는 윤순의 서예창작관으로 전개된다. 그는 蒼勁拔俗을 강조하는데, 이는 보편적 미의식을 넘어 진정과 개성에 비중을 둔 주체적 미의식의 발로였다. 즉, 세속적인 형태미를 줄이고 필획에 내재된 神彩를 통해 주체적 心態 구현에 비중을 둔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形似와 모방에 치우친 擬古主義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는 中和美로 대표되는 東晉의 王羲之를 존숭하여 그 이후의 서예를 배제하다가, 점차 비판적으로 수용해나간다. 그리하여 최상의 서예를 ‘세속 사람들의 안목에 거슬리는 것’이라면서 중용적 사유보다 심학적 개성주의를 존중한다. 윤순이 후대에 높이 평가받는 것도 기존의 유가적 서예도통관 ․ 이단관만 고집하지 않고 제가들의 서예를 받아들여 自得을 꾀하기 때문이다. 그의 변화정신은 심미취향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자학과 양명학의 圓融에 의한 유연한 사고에 바탕한 것이며, 그의 글씨가 ‘時體’로 불렸던 점도 이와 유관하다.
윤순의 時體는 典雅하면서도 여러 서체의 복합에 의한 조형적 아름다움, 창작층과 향수층의 다양한 미의식의 고취, 그리고 時代性을 모두 충족시켰다. 擬古에만 그치지 않고 창작주체의 개성과 시대정신을 투영함으로써 서예의 진정한 法古創新을 실현한다. 즉, 주자학적 중화미와 양명학적 개성미를 융화시켜 전통의 격조와 시대미감을 겸비한 自得의 서예를 창작한다. 이러한 점이 그의 서예미학을 주목하는 이유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序論
 2. 思想的 圓融과 서예인식
 3. 圓融的 法古創新의 지향
 4. 自得的 書藝審美의 구현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지훈 Ji-Hoon Jang. 경기대 서예ㆍ문자예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