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옛길 관광자원의 관리체계 -일본 쿠마노코도(熊野古道)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ourism Resources Management System of Old Road: Case of Kumano Kodo in Japan

옛길 관광자원의 관리체계 -일본 쿠마노코도(웅야고도)를 중심으로

최인호, 임은미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Kumano Kodo in Japan give some useful information to domestic road manage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history of Kumano Kodo, Kumano Kodo operation system was studied trough the staffs' interview and suggest some possibilities to the domestic road management in seven ways. First, it is necessary for aware of the changes to the road. the road is not forever but changea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ritual acts. Third, for the improvement of road management it must apply storyscape's view. Fourth, making experiential environments based on story.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environments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oryteller programs for forming the regional identity. Finally, It requires tourist road organizations' network system. Results of this research expected to give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ystems of tourist road management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내 길 관련사업의 발전적 운영관리 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오랜 동안에 걸쳐 운영관리체계를 발전시켜온 일본의 쿠마노코도를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코작이 제시한 벤치마킹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문헌연구, 심층인터뷰, 현장조사 등을 통한 삼각화를 모색하였다. 특히, 심층인터뷰는 쿠마노코도의 나카헤치 구간을 담당하고 있는 타나베시청에서 진행되었으며, 현장조사는 나카헤치 구간에서 직접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쿠마노코도는 긴 시간을 두고 관리가 진행되어 왔으며, 관련 지자체들간의 적극적 협력, 보존과 진흥의 조화, 알기 쉬운 안내체계, 공정여행의 실천 등이 특징적인 사항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길에 대한 인식 전환, 의례행위의 개발, 스토리 스케이프 논리의 개발, 스토리텔링형 체험환경 조성, 정보환경 개선, 길 스토리텔러 육성, 협력 네트워크 체계 구축 등의 제안을 도출할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걷기의 철학
  2. 옛길의 의미
  3. 걷기 여행
 III. 연구 방법
 Ⅳ. 쿠마노코도의 관리체계
  1. 기본현황
  2. 운영체계
  3. 노선관리
  4. 안내체계
  5. 여행규칙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인호 Choi, In-Ho. 청운대학교
  • 임은미 Lim, Eun-Mi. (주)여가누리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경남발전연구원(2007). 백의종군로 정비를 위한 기초연구.
  • 2국토연구원(2008). 건강 ․ 문화 ․ 생태회랑 구축 전략 연구: 국토 녹새길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 3A Study on Conceptual Method for Forest Trail Planning네이버 원문 이동
  • 4트레킹(trekking)시장세분화를 통한 상품개발 방안 : 여성 트레킹 참여자를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5문화체육관광부(2010). 도보여행 활성화에 따른 파급효과 분석.
  • 6민현석 ․ 송지영(2009). 옛길의 가치규명 및 옛길 가꾸기 기본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7A Study on Japanese Houses in Guryongpo and Historical Theme Tourism Streetsearticle 원문 이동
  • 8An exploratory study of walking-tour motivation:The case of Je-Ju Island 'Ol-Legil'네이버 원문 이동
  • 9산림청(2008). 백두대간의 옛길, 옛문화 찾기 조사용역완료보고서.
  • 10신정일(2008). 삼남대로. 휴머니스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