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홀리스틱 관점에서 빈곤아동의 보호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과 효과

원문정보

An Exploration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Protect Factor of Poor Children and Its Moderating Effect from the Holistic Perspective

모상현, 김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mediatory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poor children,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s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under the economic crisis. The sample were composed of 814 students(elementary students 406, middle school students 409)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optimistic level that is protective factors of poor children, attitudes toward parents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 but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not, contrary to non-poor children. The optimistic level had moder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stability level and delinquency conduct partially under the economic hard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sm is an important factor to help children’s adjustment in vulnerable circumstances such as poverty.

한국어

이 연구는 빈곤상황에서 아동의 정서적·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호요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탐색하고, 경제위기에서 아동의 정서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초·중생 814명(초등생 406명, 중학생40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빈곤아동의 보호요인인 낙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부모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빈곤 중간계층의 아동집단과는 달리 부모와의 관계성 변인에서는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낙관변인은 경제위기에서 심리적 안정수준과 일탈 및 비행행위에 대해 부분적 보호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빈곤이라는 부정적 환경 속에서도 아동의 심리적·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 연구의 목적
 Ⅱ. 빈곤아동의 보호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빈곤아동과 낙관성
  2. 빈곤아동과 자아존중감
  3. 빈곤아동과 부모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 연구도구
  3. 측정방법
 Ⅳ. 연구 결과
  1. 결과분석 I
  2. 결과분석 Ⅱ
 V. 논의와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모상현 Mo, Sang Hy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미영 Kim, Mi Young.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