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근현대 스포츠의 産室, 동대문운동장

원문정보

Modern & Contemporary Korean Sports Heartland

한국 근현대 스포츠의 산실, 동대문운동장

김명권, 박기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sider historical meaning of Dongdaemoon Stadium as an important monument of sports in Korea.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use of Kyungsung Stadium was firstly appeared as a stadium hosted the Gyungsung club's game versus University of Chicago. Second, it became the symbol of meeting place of ideology and political chaos after liberation. Third, its role as a major sports facility was taken over by Jamsil Stadium, and its functions were greatly reduced after the construction of Jamsil Stadium. Fourth, Dongdaemoon Stadium has vanished from history despite of the requests to keep it from various fields in society. We should have respected the voice that urged us to keep the stadium.

한국어

이 연구는 동대문운동장이 사라지기까지, 한국체육의 산실로서 그 변천과 정에 나타난 역사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당시 경성운동장의 최초 사용기록은 시카고대학 대 景城구락부경기를 기점으로 일본이 개최한 대회(1925. 10. 28)에 참가했다. 이는 항일의지가 표출된 스포츠민족투쟁의 역사이며, 운동장의 역할이 자리한 시점이다. 해방 후, 서울운 동장으로 개명,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혼란이 존재한 집회장소로서 각인된다. 당시 민중의 삶도 운동장과 닮아 있었다. 3공화국의 스포츠 정책 속에서 시설 개보수 및 확장공사가 이루어졌다. 1984년 잠실종합운동장 건립 후, 동대문운동장으로 개명된다. 스포츠시설의 대표적 자리도 잠실운동장에 넘겨주며, 기능도 축소되는 쇠퇴의 시기다. 각계의 요청에도 불구, 그 가치는 물론, 동대문운동장(2008.5.14)은 사라진다. 우리는 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채, 사건의 기억을 담고 있는 스포츠시설을 없애버리고 말았다. 결국 근현대한국스포츠의 기록이 담긴 기념물(운동장)을 찾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최초의 근대식 운동장 京城運動場(1925-1945)
 III. 광복, 다시 태어난 서울운동장(1945-1983)
 IV. 사라진 歷史기념물 동대문운동장(1984-2008)
 V. 時代遺憾, 동대문운동장 쓸쓸한 뒷모습을 보이다.
 VI.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명권 Kim, Myoung-Gwoun. 강원대학교
  • 박기동 Park, ki-Dong.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