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육 교육과정에서의 투호

원문정보

Tuho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최미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uho, which is included as an essential unit in the current 7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not explained sufficiently in th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and some explanations need to be corrected.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of tuho,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support tuho as a sport event to be included in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With these purposes, in order to se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uho and analyze information in tuho painting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hat collected primary and secondary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uho and made a diachronic approach.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uho and the results of tuho painting analysis, we examined tuho‐related contents i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e of conditions for desirable class is ‘class without gender‐based discrimination.’ The sport has an educational value in contemporary education. Second, tuho was used by our ancestors as a means of having leisure and training the body and the mind. In this sense, tuho is a leisure
sport that can be played by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and has an educational value recommendable in the new 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effect of traditional tuho is that it can support the characteristic a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uho is a mannerly physical activity and aims at the cultivation of the body and the mind. Thus, its educational value for physical education can be found in its contribution to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in the new curriculum. Fourth, tuho is taught to 3rd grader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uho is suitable for high graders and thus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tuho in the leisure area for high graders rather than low graders. Fifth, traditional sport tuho was high‐class culture enjoyed not only by government officials and
young people in the wealthy class but also by the kings. Tuho was played at national events in order to serve guests from foreign countries. Accordingly, it needs to be recommended actively for various physical education events in school including the school sports day. Six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uho paintings, tuho was played in places where the players could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ly, such a poin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eaching tuho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uho class in curren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uho is considered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the inclusion of tuho in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한국어

현행 7차 체육교과의 단원 필수에 나오는 투호는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설명 자체가 빈약하고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보완이 필요하며, 투호의 교육적 가치를 찾아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질적 향상과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투호 종목을 넣어도 될 정당성을 부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하여 투호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투호회화에 나타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투호와 관련 있는 1, 2차 사료를 수집하여 통시적으로 접근하는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투호의 이론적 배경과 투호회화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투호와 관련된 현행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7차 교육과정의 체육수업에서 좋은 수업의 요건중 하나가‘성차별이 없는 수업’이 포함 된다. 투호는 남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종목으로 현대교육에서도 교육적 가치가 있다. 둘째, 투호는 전통적으로 우리조상들이 여가를 즐기며 심신을 단련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투호는 남녀노소 누구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종목으로 새교육과정에서도 권장할만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 셋째, 전통적으로 행한 투호의 교육적 효과는 체육교과의 특성 중에 하나인 종합교과적인 특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종목이다. 투호는 예(禮)를 갖춘 신체활동과 심신수양을 목적으로 행한 종목으로 새교육과정의 ‘신체 활동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체육 교육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투호는 제 7차 교육과정의 3학년에 편성되어 있다. 투호는 고학년에 적합한 종목으로 새 교육과정에서는 저학년 보다 고학년의 여가영역에 넣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전통적으로 행한 투호는 사대부나 부유층의 자손뿐만 아니라 왕들도 즐긴 귀족스포츠 문화라 할 수 있다. 국가행사의 외국 손님 접대 시에도 행하였던 종목이다. 따라서 운동회를 포함한 학교의 각종 체육행사에 적극 권장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투호회화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투호의 장소는 사방이 트인공간보다는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한 투호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행 초등학교 체육 투호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투호의 교육적 가치는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투호 종목을 다시 넣어도 될 정당성을 찾기에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본론
  1. 투호의 이론적 배경
  2. 투호 회화의 분석
  3. 체육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미애 Choi, Mi‐ae. 춘천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