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00 Illustratioo of the Exterior Bus Advertising - Focused on 2009 advertising of Woosong University -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way of the advertising strategies in seoul-kyunggi area and new expression guidelines for exterior bus advertising by searching the effect of illustration. Subjects of this paper were established analyzing the causes of the related prior researches, oversea as well as domestic. Then the advertising strategies and the plans of the illustration activity on actual status were developed through the expression analysis of existing exterior bus advertising including the strategies and tactics of three advertising agency, focused on 2009 advertising of woosong university. The finding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visable advertising strategies in seoul-kyunggi area of the local university pay attention in differentiating from the activity of other university. There are differences of major, media, message. Secon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suggest the new guidelines of the expression strategy and tactic in exterior bus advertising. There are short messages, audience wants and series effect. Then, it will be a great steady rush for the exterior bus advertising of new illustr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방대학 광고의 효과적인 수도권 전략을 탐색해 보고자 함이며, 둘째 버스외부광고의 표현방법에 따른 일러스트레이션의 효과를 모색해 봄으로써 버스외부광고의 새로운 표현지침을 학문적으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대학광고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한 후 그에 따른 연구대상 광고의 전략과 표현분석을 시도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2009년 우송대학교가 실제 제작 집행한 버스광고를 중심으로 분석하되 이에는 사전에 3개 광고회사가 경합 프레젠테이션의 형식으로 제시한 전략과 표현을 포함하였다. 그 중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인쇄광고 위주의 전략과 표현만을 다루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대학의 수도권 전략으로는 전공의 차별화, 매체의 차별화, 표현의 차별화라는 3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다수 대학들이 글로벌대학을 강조할 때 학과전공을 부각하고, 전국단위 광고를 할 때 수도권 중심의 매체로 집중하며, 인물일러스트레이션 일색의 표현들 중에서 어린이일러스트레이션으로 차별화할 수 있음을 찾은 것이다. 그리고 둘째 버스외부광고의 표현지침으로는 짧은 메시지, 수용자욕구, 시리즈효과라는 3가지 전술을 추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대상
2. 이론적 검토
2.1. 버스광고 선행연구
2.2. 대학광고와 일러스트레이션연구
2.3. 연구문제 설정
3. 분석
3.1. 경쟁 프레젠테이션 비교분석
3.2. 최종 광고 표현분석
3.3. 연구결과의 논의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