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어 문장형식의 연구 및 적용 - 영문법 5형식의 재조명

원문정보

A Study on English Sentence Patterns and Its Application : English 5 verb patterns revisited

정덕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nglish 5 sentence patterns, which has taken deep root in Korean English education since the Japanese colony period, originated from an English linguist, C. T. Onions(1904).
When Hosoe Izuki(1917) introduced the concepts of Onions' 5 predicate forms into Japan.
those concepts were rapidly absorbed into Japanese school grammar and had settled down as essential elements in Japanese English education since, which came into Korea direct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there have been so many confusions in sentence analysis using the English 5 sentence patterns among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as well as element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at the sentence patterns have been blamed for hindrance to understanding diverse forms of sentence and to generating precise styles of sentence.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intrinsic problems in both Onions' 5 predicate forms and English 5 sentence patterns popular in Korea in the light of Bae(2003) and tried to resolve the following problems: lack of consistency in classification, counter-generalization of grammatical rule that denies the syntactic common grounds of tensed clause, infinitive clause and small clause, the presence of sentences defying the application of sentence classification by the 5 forms or patterns, and obligatoriness of locative adverbials. Following Han(2007), efforts to strengthen ‘functional approach’ which was the intrinsic key criterion of Onions' predicate form classification turned out to accommodate obligatoriness of adverbials while getting rid of the 5th form, which connotes theoretical redundancy, and consolidating it into the 3rd form. As a result, the author suggested English 4 predicate forms as the alternative to English 5 sentence/predicate/verb forms for teaching English sentence patterns acknowledging the obligatoriness (argumenthood) of locative complement whose syntactic form is adverbials.

한국어

일제 식민지 교육시기부터 한국 영어교육에 자리잡아온 영어문장 5형식 개념 기원은 영국의 영어학자 C. T. Onions(1904)이다. Onions의 술부 5형식 개념을 호소에 이쯔키(1917)가 일본에 소개한 이후 이 개념은 급속하게 일본 학교 문법에 침투되어 일본 영어교육에 필수적 요소인 5형식 개념으로 자리잡고 일제강점기 중에 한국의 영어 교육에 그대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직 교사와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문장 5형식이 문장 분석에 있어서 혼선을 빚기도 하며, 그 한계로 인해 문장형식을 이해하거나 정확한 문장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논고에서는 Onions의 술부 5형식 개념과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영어문장 5형식 개념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들에 관해 배영남(2003)의 관찰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하여도 모색해 보았다-분류의 일관성의 결여, 시제절과 부정절 그리고 소절을 아우를 수 있는 문법규칙의 일반화에 대한 역행, 문장유형 파악기준의 적용이 어려운 문장들의 존재, 필수부가어의 존재. 한학성(2007)의 제안에 따라 Onions가 지향하는 ‘기능’ 중심의 분석을 더욱 철저히 하기 위해 ‘부사적’ 필수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론적 중복성을 야기하는 제5형식을 폐기하고 그것을 제3형식 문형으로 통합하였다. 그 결과, 부사어구의 형태이지만 필수 요소인 처격 보어를 요구하는 술어를 재배치하여 영어문장 유형의 교육에 술부 5형식을 문장 5형식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영어교육에서의 문장 5형식의 개념과 정착
  Ⅱ.1. 한국 영어교육에서 통용되는 영어문장 5형식의 개념
  Ⅱ.2. 문장 5형식의 기원과 한국 영어교육에서의 문장 5형식의 정착
 Ⅲ. Onions의 술부 5형식의 이해와 영어문장 5형식의문제점들
  Ⅲ.1. Onions의 영어술부 5형식
  Ⅲ.2. Onions의 술부 5형식의 개념과 한국 내 문장 5형식의 개념간의차이점
  Ⅲ.3. Onions의 술부 5형식과 한국의 영어문장 5형식의 문제점들
  Ⅲ.4. 문장 5형식의 개선점 및 대안
 Ⅳ. 결론
 참고문헌
 Resume

저자정보

  • 정덕교 Jung, Duk-Kyo. 한양대학교 학부대학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